덕화만발* 소통의 법칙
*德華滿發*
소통의 법칙
예나 지금이나 군자의 몸가짐에는 공경하고 겸손한 것이 복을 누리는 터전입니다. 어찌 경계하지 않겠습니까?(古今一轍君子處身持敬謙遜享福之基何不戒哉也). 결국 말을 함부로 하는 것은 사람들에게, 특히 정치가에게는 치명적인 독이 되는 법입니다. 정치가들은 무엇보다 말을 아끼고, 말에 신중을 기해야 하는 것이지요.
얼마 전 새정치연합 최고위원인 정청래 의원이 주승용 최고 위원에게 “공갈치지 말라”는 막말을 했다가 결국 윤리위원회에서 1년간 직무정지를 당했다고 합니다. 아마 이 처분으로 정 의원은 최고위원직은 물론 내년 총선에 출마조차 못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말이 들립니다.
일찍이 송(宋)나라의 태종은 이방(李防)에게 칙명을 내려 ‘태평총류’를 편찬하게 하였습니다. 그런데 훗날 이 책을 태종이 하루에 세 권씩 읽어 1년 만에 완독하였다고 해서 ‘태평어람御覽)’이란 제목으로 바꾸었지요. 이 책에는 다음과 같은 명언이 나오고 있습니다.
「정신은 감정에 의해서 발현되며, 마음은 입을 통해서 발표된다. 복이 생기는 것은 그 징조가 있으며, 화가 생기는 데도 그 단서가 나타난다. 그러므로 함부로 감정을 표출하거나 지나치게 수다를 떨어서는 안 된다. 작은 일은 큰일의 시작이 되고, 큰 강도 작은 개미구멍으로 터지며, 큰 산도 작은 함몰(陷沒)로 기울어진다. 이처럼 작은 일이라도 삼가지 않으면 안 된다. 병은 입으로 들어가고 화는 입에서 나오는 것이므로 군자란 항상 입을 조심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말에서부터 ‘입은 화의 근원’이라는 뜻의 ‘구시화문(口是禍門)’이라는 성어(成語)가 나왔다고 합니다. 노자(老子)도《도덕경(道德經)》에서 다음과 같은 의미심장한 진리를 말하고 있습니다. “참으로 아는 사람은 말하지 않고, 말하는 사람은 참으로 알지 못한다(知者不言 言者不知).” 즉, 참으로 아는 사람은 말하지 않고, 오직 행동으로 나타내 보일 뿐인 것이지요. 그리고 남을 설득하려 하지 않고 오직 실행으로 남을 감화시킨다는 뜻입니다.
노자는 가장 으뜸가는 처세술은 물의 모양을 본받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러니까 강한 사람이 되고자 한다면 물처럼 되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장애물이 없으면 물은 흐릅니다. 둑이 가로 막으면 물은 멈춥니다. 물은 네모진 그릇에 담으면 네모가 되고 둥근 그릇에 담으면 둥글게 됩니다. 그토록 겸양하기 때문에 물은 무엇보다 필요하고 또 무엇보다도 강한 것이지요.
이와 같이 가장 이상적인 생활 태도는 물과 같은 것입니다. 물은 만물에 혜택을 주면서 상대를 거역하지 않고, 사람이 싫어하는 낮은 곳으로 흘러가기 때문입니다. 물처럼 거슬림이 없는 생활 태도를 가져야 인생의 실패를 면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강해지려면 흐르는 물처럼 되어야만 히는 것이지요.
물이란 장애물만 없으면 유유히 흐르고 장애물이 있으면 흐르지 않습니다. 네모난 관이면 물은 네모나게 흐를 것이요 둥근 관이면 물은 둥글게 흐를 것입니다. 물은 부드럽고 마음대로 흐르기 때문에 가장 불요불급(不要不急)하고도 강한 것입니다.
그래서 크고자하거든 몸을 구부리는 것입니다. 스스로는 드러내지 않는 까닭에 오히려 그 존재가 밝게 나타나며, 스스로를 옳다고 여기지 않는 까닭에 오히려 그 옳음이 드러납니다. 또한 스스로를 뽐내지 않는 까닭에 오히려 공을 이루고, 스스로 자랑하지 않는 까닭에 오히려 그 이름이 오래 기억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 입을 조심하고 대인관계에 <소통하는 법칙>이 있는 것입니다.
첫째, 그 사람 ‘앞’에서 할 수 없는 말은 ‘뒤’에서도 하지마라. 뒷말을 하는 것이 가장 나쁩니다. 그래서 뒤에서 구시렁거리는 것이 아닙니다.
둘째, ‘말’을 독점하면 ‘적’이 많아진다. 적게 말하고 많이 듣는 것입니다. 많이 들을수록 내편이 많아지는 것이지요.
셋째, 목소리의 ‘톤’이 높아질수록 ‘뜻’은 왜곡된다. 흥분하지 않는 것입니다. 말의 억양을 낮추는 것이지요. 낮은 목소리가 힘이 있습니다.
넷째, ‘귀’를 훔치지 말고 ‘가슴’을 흔드는 말을 하라. 듣기 좋은 소리보다 마음에 남는 말을 하는 것입니다.
다섯째, 내가 ‘하고 싶은 말’ 보다 상대방이 ‘듣고 싶은 말’을 하라. 하기 쉬운 말보다 알아듣기 쉽게 이야기를 하는 것입니다.
여섯째, 칭찬에 ‘발’이 달려있다면 험담에는 ‘날개’가 달려있다. 나의 말은 반드시 전달됩니다. 상대방의 허물은 덮고 칭찬은 자주 하는 것이지요.
일곱째, ‘뻔’한 이야기 보다 재미있게 이야기를 해라. 개그처럼 재미있게 하는 것입니다. 한 얘기 하고 또 하면 안 됩니다.
여덟째, ‘혀’로만 말하지 말고 ‘눈’과 ‘표정’으로 말하라. 비언어적 요소가 언어적 요소보다 힘이 있는 것이지요.
아홉째, 입술의 ‘30’초가 가슴의 ‘30’년이 된다. 나의 말 한마디가 누군가의 인생을 바꿀 수 있는 것입니다.
열째, ‘혀’를 다스리는 것은 나지만 뱉어진 ‘말’이 나를 다스린다. 함부로 말하지 말고 한 번 말한 것은 책임을 져야 하는 것이지요.
어떻습니까? 소통은 귀로 듣고 눈으로 말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되도록 많이 듣고 적게 말하는 것이 소통의 법칙이 아닐 런지요? 이 소통의 법칙을 실행하면 입이 화문(禍門)이 아니라 복문(福門)이 될 수 있음을 우리는 명심해야 할 것입니다. 말로 화를 자초한 정청래 의원이나 정치인들이 이 소통의 법칙을 배우면 얼마나 좋을 까요!
단기 4348년, 불기 2559년, 서기 2015년, 원기 100년 5월 29일 덕 산 김 덕 권(길호) 합장 【다음카페 덕화만발(德華萬發)클릭→http://cafe.daum.net/duksan725】 《*덕화만발* 토 일요일 공휴일은 이메일 발송이 어려워 쉽니다.》 |
'나의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대 허정박사의 건강 강의 ● 健康과 醫學情報 심근경색? (0) | 2016.05.25 |
---|---|
웃으니까 청춘 (0) | 2015.09.16 |
오마하의 현인 (0) | 2015.05.15 |
득도다조(得道多助) (0) | 2015.05.15 |
반드시 밀물 때는 온다 (0) | 2015.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