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수태음폐경 * 흉부, 인후, 기관, 코 부위, 폐장 질환 즉 호흡기 질환 * 표리 관계인 대장질환, 앞쪽 어깨 부위, 피모(皮毛) 질환 ![]() 2. 수양명대장경 * 머리, 눈, 귀, 코, 이, 인후, 대장 질환 * 표리관계인 폐질환, 위, 소화불량, 고혈압, 상지질환, 열성방면 질환, 어깨, 인후, 피부, 머리, 오관부 병증에 특효 * 피부질환, 특히 가려움증에는 대장경 어느 경혈을 취혈해도 효과가 크다: 곡지&합곡&견우&비노는 특히 효과가 좋다. ![]() 3. 족양명위경 - 팔을 들기 힘들 때 : 조구 to 승산 - 발목을 삐었을 때 : 해계 to 상구(안쪽 복숭아뼈 - 상구혈부위) 해계 to 구허(바깥쪽 복숭아뼈 - 구허혈부위) - 손목을 삐었을 때 발목의 해계(족양명위경)에 자침 발목을 삐었을 때 손목의 양계(수양명대장경)에 자침 이때 좌우 같은 쪽 또는 다른 쪽 자침해도 좋다. 단 양쪽 모두 자침하지는 않는다. - 내정(형수혈): 위에 탈이 생겨 열이 날 때(얼굴이 붉고, 잇몸에 피/붓고 아프고, 입에서 냄새) 취혈 - 내정&충양&족삼리&중완 자침+여태 점자출혈 치통&안면병 경우 내정&합곡 목 병(목 감기) ![]() 4. 족태음비경 * 여자의 경맥(생리불순조절) 혈액 관련된 병(삼음교&음릉천&혈해 + 누곡) 소화흡수(공손&지기) 인공유산/피부가려움증(삼음교&음릉천&혈해) ![]() 5. 수소음심경 * 심장병, 소장병 치료 심경이 흐르는 유주구역에 생기는 병(외경병)도 치료 * 한의학적인 심 : 정신기능, 혈맥, 이상 있으면 얼굴빛이 지나치게 붉어진다, 희면 심허 * 시장의 병은 혀로 나타난다: 뻣뻣해짐. 언어불능. 오미를 모름 - 심장병의 경우 신문&내관&좌심유&좌궐음유에 뜸 - 시험/대회 앞두고 심약한 경우: 소충&중충(심포경)&관충()에 피내침 또는 자석 신문&음극&통리&영도에 자석 ![]() 6. 수태양소장경 * 소장의 병, 소장경의 구역(특히 어깨), 심장병 * 소장: 하단전(관원, 석문, 기해) * 어깨 아픈 데에는 “견(肩)” & “노”자 든 혈 이용(6견3노): 견정, 견정, 견우, 견료, 견중유, 견외유, 노회, 비노, 노유 * 어깨 통증시 유주 경맥 손 - 대장경, 삼초경, 소장경 발 - 담경 ![]() 7. 족태양방광경 * 유주구역 : 눈, 토, 뇌속(통천에서 들어감), 뒤 목, 등, 허리, 볼기(좌골신경), 항문(회양), 대퇴뒤쪽, 무릎 아래 * 표리관계인 신(腎)병 치료도 크게 보조 * 골도법: 양 액발각 사이: 9치 등분 ![]() 8. 족소음신경 * 신 질환, 표리관계인 방광 질환 * 생식, 비뇨, 요복, 인후, 귀, 뼈, 골수, 하지, 정신방면 질환 ![]() 9. 수궐음심포경 * 심장의 병에는 심경 & 심포경의 경혈을 같이 쓴다. * 심열이면 소부(심경의 형화혈)&노궁(심포경의 형화혈) 함께 사용 * 심장 만성병이면 통리(심경의 낙혈)&내관(심포경의 낙혈) 함께 사용 - 피로 회복혈: 신주(독)&노궁(심포)&태충(간) - 중충: 두통 여파에 점자출혈 ![]() 10. 수소양삼초경 * 소장은 군화경, 삼초는 상화경으로 서로 연관 * 몸이 찬 것을 따뜻하게: 모혈(석문), 배유혈(삼초유)에 뜸 * 심포병 치료에 크게 협조 * 편두통에 수소양삼초경&족소양담경 * 유주구역: 팔한가운데, 어깨관절뒤쪽, 옆 목, 귀, 편두통, 와사(예풍) ![]() 11. 족소양담경 * 유주구역 : 눈, 귀, 얼굴, 편두, 하지 외측, 옆목, 어깨, 겨드랑이 밑, 옆구리, 옆구리 배 * 눈병에 많이 쓰임 : ‘目(목)’字, ‘泣(읍)’字, ‘明(명)’字 들어가는 혈 양백, 동자료, 목창, 두임읍, 광명, 족임읍, 양보 * 중풍 예방/치료와 관계 : 중풍 7혈 : 풍지, 곡빈, 견정(肩井), 풍시, 환도, 현종(모두 담경), 곡지(대장경) * 중풍 예방혈 : 족삼리&현종 ![]() 13. 족궐음간경 ![]() * 생식기 병 : 행간&태충 13. 임맥 * 음맥지해(陰脈之海) : 제음경맥을 관할, 통솔한다 * 단중 - 상초 중완 - 중초 기해 - 하초 * 생식기 질환, 부인과 질환에 중요한 경맥 * 관원혈 : 간/신/비경/임맥이 교회하는 혈 * 육모혈(六募穴) : 십이정경의 십이 모혈 중 여섯 개의 모혈이 임맥에 있다 방광경지모혈 : 중극 소장경지모혈 : 관원 삼초경지모혈 : 석문 위경지모혈 : 중완 심경지모혈 : 거궐 심포경지모혈 : 단중 * 해수, 천식 : 천돌 * 아래턱 구안와 ![]() 14. 독맥 * 6양경맥이 모이는 곳:수양명대장, 수소양삼초, 수태양소장, 족양명위, 족소양담, 족태양방광 - 대추는 6양경맥이 교회하는 곳으로서 퇴열의 명수(대추&합곡,곡지) * 통혈~후계: 독맥의 한 가지가 소장경 경혈 중 하나인 후계에 닿아 있다. 즉, 후계를 자극해도 독맥에 자극이 전달된다. 후계의 주치(主治)는 독맥 관련병 치료이다. - 후두통, 항통(뒷목), 배통(등줄기), 요통(허리),항문병: 선 후계(독맥:손), 후 신맥(양교맥:발) * 독맥과 관계되는 내장: 척수, 뇌, 항문 인체 부위: 코, 앞 골, 정수리, 뒤 골, 뒤 목, 등줄기, 항문 * 머리부위 경혈 취혈시 골도법: 전발제와 후발제 사이를 12등분한다. * 배부 경혈 취혈시 골도법에서 배부 상하의 거리는 척추 극돌을 기준으로 한다: 경추 극돌 1~7번 흉추 극돌 1~12번 요추 극돌 1~5번 독맥 배부 경혈의 위치는 척추 극돌과 극돌 사이의 함요처에 위치한다. ![]() ![]() |
'사진 > 스포츠마사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에 딱 세번 하늘에서 電話 가온다~ (0) | 2014.08.11 |
---|---|
[스크랩] 경혈배혈본치료와 경근자극 아시혈 요법(정모 학술자료 재편집)-선주문 (0) | 2013.10.13 |
[스크랩] 발을 알면 건강이 보인다 (0) | 2013.06.15 |
경락이란? (0) | 2013.01.13 |
당신은 행복한 나의 비밀입니다 (0) | 2012.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