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과 이미지의 위대한 힘
당신은 당신의 능력을 얼마만큼 발휘하고 계십니까?
보통 사람들은 자신의 능력을 30%도 발휘하지 못한다고 합니다.
나머지 70% 이상은 말 그대로 잠재화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자, 지금부터 자신안에 숨어있는 잠재능력을 개발해 볼까요?
첫째, 말을 바꾸십시오.
언어는 엄청난 마력을 지닌 신비한 도구입니다.
긍정적인 언어를 사용하느냐? 부정적인 언어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인생이 180도 달라집니다.
인생을 바꾸는 것은 정말 간단합니다.
사람은 말을 하기 전에는 그 말의 주인이지만, 말을 해버리고 나면 자기가 한 그 말의 노예가 됩니다. 언어가 갖고 있는 파동에 의해 인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즉, 항상 밝고, 건강하고, 솔직하고,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언어를 사용하느냐, 아니면 어둡고, 칙칙하고,병적이고, 소극적이고, 반발적이며 부정적인 언어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인생이 달라집니다.
둘째, 자신의 성공한 이미지를 그리십시오.
실패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과거의 성공한 경험보다 실패한 경험에 더 집중하여 주로 실패의 이미지를 잠재의식에 모아두어 자신에 대해 부정적인 이미지를 강하게 갖고 있는 사람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일을 하기도 전에 자신이 실패를 하여 불행해지지 않을까 하는 강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습니다.
두려워 하는 자는 아무 것도 할 수가 없습니다.
지금 이 순간 두려움을 타파하십시요.
성공한 사람들은 두려움을 떨쳐버리고 무슨 일이든지 '하면 된다'는 적극적인 사고를 하며, 자신은 이 일을 잘 해낼 수 있다는 자기 확신이 강한 사람입니다. 설령 잘 되지 않더라도 구체적이고 확실한 성공 이미지가 있으면 '그럴 리 없어. 무언가 방법이 분명히 있을 거야.'라며 방식을 바꿔가며 성공할 때까지 끝까지 밀고 나갑니다.
성공한 사람은 이미지 속에서 먼저 성공을 체험하는 사람들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이미지란 마치 이미 실현되어 실감하며 체감하는 수준이어야 합니다.실감나지 않는 이미지는 공상이나 꿈에 불과 합니다.
실감나는 자기 성공 이미지를 가지려면 구체적인 꿈과 묵표가 있어야만 가능합니다. 꿈과 목표가 없다면 죽은 사람과 같습니다. 사람에게는 목표가 있어야만 마음의 밑바닥에 있는 잠재의식의 커다란 힘과 무한한 가능성을 퍼 올려 쓸 수 있습니다.
우리가 수도를 사용할 때 한 쪽으로 돌리면 따뜻한 물이 나오고,또 다른 쪽으로 돌리면 찬 물이 나옵니다. 인간의 마음도 마찬가지로 성공할 수 있는 긍정적인 마인드로 가느냐, 아니면 실패할 수 있는부정적인 마인드로 가느냐는 전적으로 자기 자신에게 달려있습니다.
다 마음먹기에 달려있습니다.
트레이닝
1. 항상 밝고,건강하고 솔직하고, 적극적인 긍정적인 언어를 사용하라.
2. 암시 용어를 만들어 주문처럼 항상 읊조려라.
-용어는 간단하고 감각적인 언어를 사용하여 구체적인 이미지가 잘 떠오르게 만드십시오.
3. 잠자기 전에 성공 이미지를 떠올려라.
4. 항상 웃는 얼굴을 만들어라.
-자신의 사진 중에서 환하고 밝게 웃은 사진을 골라 책상이나, 식탁 앞 등 눈에 잘 띄는 곳에 붙여둡니다.
5. 칭찬 일기를 써라.
-여기에서 말하는 일기는 아주 간단한 것입니다. 예를 들면 '다른 부서에 있는 친분이 별로 없는 직원을 복도에서 만났을 때 "안녕하세요."하고 내가 먼저 인사를 했다.'라고 쓰는 것입니다. 이것은 대단한 용기입니다. 인사를 하는게 쉽지 않을 것입니다.
한 번 해보십시요.
칭찬 일기는 짧은 문장으로 적어도 세 가지 이상 매일 다이어리에 적어 보십시요. 그리고 매주 주말에 읽어 보십시요.
잠재의식에 '나는 괜찮은 사람이다.'라는 자신의 긍정적인 마인드가 싹이 틀 것입니다.
반성 일기는 쓰지 마시고 꼭 칭찬 일기를 쓰십시오.
감춰진 재능은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다!
잠재능력은 언어와 이미지로 개발할 수 있다!
'사진 > 스피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술의 매력포인트 7가지 (0) | 2011.10.04 |
---|---|
사랑이 가득한 인생을 사는 법 (0) | 2011.09.23 |
사람을 사로 잡는 심리 화술 (0) | 2011.09.21 |
도둑형제의 갈린운명 (0) | 2011.07.24 |
사람은 늙어 가는것이 아니라 익어 가는 것이다, (0) | 2011.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