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 사이트에 올라 온 글들을 보면 대부분 식비가 차지하는 부분이 많더라구요.
그 중에서도 외식비!!!
야식 시켜 먹고
외식 하고~
과일도 넘치게 사다 먹고
집에서 밥 해먹는 것만으로도 생활비를 반 이상으로 절약 할 수 있답니다.
장보기는 일정 금액을 정해 두고 일주일에 1~2회 정도 보세요.
식구 한명당 얼마씩 정해서요.
고기 종류는 할인 행사 하거나 세일 할 때 한번에 사서
먹을 만큼씩 나눠서 냉동실에 납짝하게 얼린 뒤
바구니에 보관하면 된답니다. 생선이나 오징어 종류도 먹을 만큼의 분량씩 나누어서 넣어 두면 공간도 덜 차지하고
나중에 먹을 때도 필요한 만큼만 해동해서 먹으면 되니까 훨씬 편리해요.
첫번째가 5,000원어치 장보기구요.
두번째는 명태알 때문에 그렇지 10,000원 장보기 (여기서 명태알이 8,000원)
공산품은 대형 마트가 저렴하지만 야채나 과일은 시장에서 사는게 훨씬 신선하고 저렴하답니다.
(또 한가지 중요한 것!!! 덤으로 좀 얻을 수 있다는거죠~ 말만 잘하면 깎아 주기도 하구요. 저는 쪽파나 고추 같은 경우엔 조금씩 얻어 온답니다.
장보기 15,000원 (일주일 먹을 분량)
장보기 20,000원 (일주일 먹을 분량)
밑반찬 같은 경우엔 미리 만들어 두면 일주일 정도 두고 먹을 수 있어서 편해요.
재료비도 적게 들고 반찬 걱정 안해도 되구요.
기본 밑반찬에 국이나 찌개만 끓이면 되니깐
상 차리기도 훨씬 쉽구요.
과일은 제철 과일이 몸에도 좋고 가격도 저렴하답니다.
제철 과일을 사드시는게 좋아요.
너무 많이 사두지 말고 일주일 먹을 만큼씩만 적당히 사서 드시는게 좋답니다.
(미리 사두면 맛과 신선도가 떨어지니까요)
외식이 하고 싶을 땐 집에서 해먹는 것도 한 방법이랍니다.
한번 장보기로 두 번 정도 해먹을 수 있구요.
사 먹는 것 보다 배 이상 절약 할 수 있어요. 요리는 만들수록 실력이 늘어 간답니다.
만들기 어렵다는 분들은 요즘 인터넷에 레시피 많으니깐 그런 것 참고 해서 만드셔도 되구요.
집에서 만들어 먹으니 재료도 믿을 수 있고
맛도 더 좋겠지요?
요즘 과자값도 엄청 비싸던데..
고구마나 감자를 이용한 간식도 만들기 쉽고 맛있답니다.
물론 만드는 시간과 정성을 생각 한다면 나가서 사 먹는게 편할 수도 있겠지만
일주일에 두번만 외식해도 4인 가족 기준으로 10만원은 훌쩍인데..(요즘 물가가 올라서)
식비 아끼려면 외식부터 줄이세요.
한번 해보면 생활비가 반으로 줄어드는게 눈으로 보이실거에요.
.
.
.
.
저렴한 반찬 만들기 몇 가지 추가할께요.
한번 만들면 일주일 정도 먹는답니다.
20,000원 장보기 밑반찬
만들기 : http://blog.daum.net/sun-pkj-noon/17943029
10,000원 장보기 밑반찬
만들기 : http://blog.daum.net/sun-pkj-noon/17942917
.
.
.
.
그 외에 3,000원 내외로 만드는 반찬 및 국
몇가지만 간추려서 올릴께요.
부두김치,두부전 (두부 2,500원)
(돼지고기,앞다리살 2,000원)
http://blog.daum.net/sun-pkj-noon/17942988
부두김치,두부전 (두부 2,000원)
http://blog.daum.net/sun-pkj-noon/17943527
콩나물국,콩나물무침 (500원 시장)
http://blog.daum.net/sun-pkj-noon/17943119
오징어볶음,오징어무국 (2,000원)
http://blog.daum.net/sun-pkj-noon/17942465
오이무침,오이냉국 (2,000원)
http://blog.daum.net/sun-pkj-noon/17942450
굳이 비싼 재료 사다 해먹을 필요 없이
저렴한 재료로 한끼니 든든하게 먹을 수 있답니다.
'사진 > 성공자를 위한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자수성가한 사람의 21가지 성공 비법 (0) | 2010.11.19 |
---|---|
종자돈이 10억 부자를 만든다 * (0) | 2010.10.19 |
싱글 여성이 알아야할 10가지 재태크 노하우 (0) | 2010.10.19 |
고객만족 Sales Point (0) | 2010.10.03 |
제1부 클로징의 심리학 The Psychology of Closing (0) | 2010.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