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누수점이 미세 할 때 ㄱ. 재질이 강관일때를 제외하고는 압력을 다소 높이고 (6-7kg/㎠)스 케일(찌꺼기)이 예상될 때 몰리지 않도록 예상부위에서 가압하여 먼쪽으로 토출하도록 한다. ㄴ. 배관 탐지기를 사용하여 매입된 배관 위치를 정확히 표시하여 청 음하도록 한다. ㄷ. 온수의 경우 물을 사용할 때에는 팽창하고 탐지시 가동을 중단하 므로 신축되어 누수점이 닫히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온 수를 가동하여 팽창시켜 신속히 조사를 해야한다. 가끔 자연적으로 누수점이 막힐 경우가 발생하므로 일단 철수하여 나중에 누수가 되면 출장하도록 한다.
② 누수점이 클때 수도요금이 아주 많이 나오거나 계량기 회전이 빠를 경우 당연히 누수 점이 클것으로 예상을 해야 하며 이 경우 컴퓨레셔를 사용하여도 곧바 로 압력이 빠져나가게 되므로 배관내 물을 빼지 않은 상태로 공압을 합류시 켜 탐지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압력이 바로 빠질 때에는 모든 상태를 원위치 하여 수압에만 의존하여 누수탐지를 하도록 한다. 누수 점이 큰경우는 강관재질 배관인 경우가 많다. (가끔은 수압계를 사용 할 때도 있다.)
③ 공압을 가하는 위치 사정에 따라서 어떤 위치여도 관계는 없으나 보일러의 손상을 염려할 때는 반드시 보일러에서 압력을 가하는 것이 좋으며 다른 위치에서 가 압 할 때는 필히 보일러와는 분리 되도록 보일러 아래 관을 막음질 한 후 탐지한다.
④ 부식이 심한 강관 가능한 3Kg 이하의 압력을 사용한다. (참조 : 가정내 수압은 2Kg 전후)
⑤ 여기저기에서 골고루 소리가 크게 들릴때 예상되는 누수부근의 위치에서 가까운 엘보 또는 T를 배관탐지기로 위 치를 찾은 후 누수탐지기로 확인 하도록 하며 물을 뺄 때는 완전히 열 어 공기가 차지 않도록 한다. (스트로폰으로 쌓여진 배관은 전체가 울 리므로 누수점을 찾기가 쉽지 않다.)
⑥ 위치를 확인하고자 중망치로 파들어 갈 때 반드시 압력을 걸어두고 작업하여야 빨리 분출지점을 확인 할 수 있으 며, 예상위치에서 배관이 보이지 않을때는 배관 누수탐지기로 관로 확 인 후 탐지하도록한다.
⑦ 수평법을 시험할 때 수평이 움직임이 없으면 ? 누수가 아님 수평이 가라앉는 경우 ? 누수 가능성 많음 수평이 오버 플로우 경우 ? 제어하는 중간밸브가 이상 있어 완전 차단이 안되고 있음. (필요에 따라 교체 후 작업 진행한다)
⑧ 누수의 원인은 반드시 배관에서만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서는 침하현상에 따른 건물의 기울기가 1°라도 발생할 때에는 배관에 치명적인 누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탐지전에 총체적인 관찰이 중 요하다
⑨ 누수 탐지 교육자들이 초기에 청음(소리)에 매우 집착하게 되는데 누 수음은 특별한 소리가 나는 것은 아니며 청력에 문제가 없는 사람은 누구나 확인 가능 한 것 이다. 탐지 원리상 압력을 가했을때 소리가 나고 압력을 뺐을때 소리가 안 난다면 그 지점을 누수점으로 판단하며 압력 넣을때나 뺄 때나 같은 소리가 난다면 이는 누수음이 아닌 잡음이다. 누수 탐지시 거의 공기압을 가압하여 확인하게 되므로 가장 센 곳을 찾는다고 생각하면 되는 것이며 오히려 공기압이 누수점 외에 밸브 수 전 등에서 세어나는 소리를 오인하지 않도록 공압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전체적으로 관찰하는 눈을 키우는 것이 누수탐지 의 관건이다. (이런 이유로 당사에서는 배관 설비 교육을 우선함)
⑩ 아래층으로 누수될때 반드시 아래층에 가서 낙수량(떨어지는 물의 양) 을 대략적으로 체크하여 누수점이 큰지 적은지를 참작하고 젖어 있는 지점의 바로 위쪽이 누수점이라고 단정하여서는 아니 된다.
⑪ 거주자의 설명을 참조를 하되 전적으로 의지하여서는 아니되며 어떤 확정이 나오기 전까지는 예상을 발설 하여서는 아니된다. 이는 비전문가는 예상 하였다가 틀려도 큰 문제가 없으나 누수전문가 가 예상하였다가 결과가 달리 나올 때는 공신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⑫ 고급벽지 및 실크지를 사용한 주택 누수가 상당히 발전한 후 거주자가 인지하게 되므로 일반 벽지 인가 실크 벽지 인가를 사전에 관찰하여 참조 하도록 한다.
⑬ 현장에 도착하면 장비를 내리기전에 계량기 속도 낙수지점과 낙수량, 관종 확인, 보일러의 위치 및 종류, 누수 경과시간, 수전의 위치 파악을 먼저 하도록 한다. (싱크대, 세탁기, 화장실, 배란다, 욕조연수기, 정수기, 물탱크구조)
⑭ 낙수지점의 부근이 곰팡이가 피었다가 말랐다한 흔적이 보일 경우는 하수 및 방수 부실이거나 난방 배관 누수일 가능성이 크다.
⑮ 압력계지자체가 이상이 있을때는 오인 할 수 가 많으므로 항상점검을 해야 하며 여분의 압력계를 준비하는 것이 좋으며 오래된 밸브는 압력 이 밀리므로 주의 깊게 확인하여야 한다.
【내부 누수 탐지 정리】 ① 계량기 확인 ② BIO 밑 직수 밸브를 잠그고 계량기 확인하고 열어서 계량기 확인 ③ 예상되는 관로(냉수, 온수, 난방)를 열어 수평 확인 ④ 예상 관로에 압력을 가하여 압력계로 확인 ⑤ 배관탐지기로 예상 관로 확인 ⑥ 누수점 탐지 ⑦ 압력을 가압했을때 소리와 압력을 뺐을때의 소리를 비교 ⑧ 가장 센소리의 지점을 탐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