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스토리1

[스크랩] 진행의 준비와 요령

金成官 황금웃음 2007. 12. 30. 21:27

      ▣ 진행의 준비
    ⊙ 참가자에 대한 사전 정보 파악(집단 모임의 목적,욕구,인원수,교육수준,성비율,지역문화환경 등)
    ⊙ 장소의 사전답사 및 각종 시설의 유무 확인(교통편,전기,앰프,운동장,강당,그늘,화장실,식수대 등)
    ⊙ 연령과 적응력의 고려
    ⊙ 참가자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 접촉(Skinship)을 많이할 수 있는 프로그램
    ⊙ 프로그램을 여유있게 준비
    ⊙ 진행과정 중시를 위한 치밀한 기획
    ⊙ 새롭고 창조적인 프로그램 개발
    ⊙ 진행 할 때에 협조인 및 보조 진행자와 원만한 협조
    ⊙ 게임도구준비, 음향, 조명, 무대장치
    ⊙ 명찰준비
    ⊙ 지도자는 잘 보이고 전달하기 쉬운 위치에 간단한 가설 무대 설치
    ⊙ 30분전에 모든준비 완료


      ▣ 진행의 요령
    ⊙ 첫모습이나 인상에 있어서 신비감과 친밀감을 보여준다.
    ⊙ 10초내에 기선을 잡는다.(등장시 모습,인상,느낌,멘트,의상,스팟게임,
       서로악수,가위바위보,칭찬,인사말,매직,가장 잘하는 특기 등)
    ⊙ 진행하면서 참가자 모두에게 눈마주침,이름부르기,인사,칭찬,스킨십 등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는데 까지 한다.(1번이라도 진행자와 이런 관계가 맺어졌다면 참가자들은 지도자에게 최면(?)에 빠지는 상태가 되어 진행이 수월해 진다.)
    ⊙ 진행표나 메모지를 미리 만들어 참고한다.
    ⊙ 첫인사를 할때 표정, 몸짓, 시선, 목소리, 의상 등에 자신감을 보여 준다.
    ⊙ 공간이 확보되면 행진곡 음악에 맞추어 입장식(마치 마스게임을 진행. 단 흥겨운 행사일 경우
    ⊙ 모임의 목적과 프로그램의 가치에 대해 짧은 시간내에 설명한다.
    ⊙ 맨처음 무대에 등단해서는 분위기조성게임으로 관심을 집중시킨다. 단 흥겨운 행사일 경우
    ⊙ 맨처음 시작하는 게임은 자연스럽게 서로 접촉할 수 있는 '노래하며 안마하며' 게임을 한다.
    ⊙ 전체가 명찰을 달게 하고 이름을 자주 불러 준다.
    ⊙ 모임의 임원소개 및 전체참가자 소개
    ⊙ 시간 엄수(시작과 마무리)
    ⊙ 장소,대상과 분위기에 맞는 의상,악세사리
    ⊙ 가능한 남녀노소구별을 하지 않는다.
    ⊙ 게임의 방법과 규칙(rule)에 대하여 친절한 설명, 시범
    ⊙ 공정한 판정
    ⊙ 진행 할 때에 확신과 열정, 자신감
    ⊙ 융통성있는 프로그램으로 공백이 없는 진행
    ⊙ 재치있는 유모어 감각과 매끈한 전달력
    ⊙ 가급적 벌칙은 지양    ⊙ 적절한 칭찬
    ⊙ 대화가 정체될때는 활달한 사람부터 시작
    ⊙ 분위기가 지루해지고 호응도가 미흡하면 분위기조성게임이나 노래로 전환
    ⊙ 구령은 부드럽고 힘차게
    ⊙ 소외되는 사람과 하위집단(Surb group)을 잘 파악하여 자연스럽게 참여토록 유도
    ⊙ 프로그램이 흥미진진하기 위해서는 조를 나누어 선의의 경쟁유발
       (짝수 조가 좋다)
    ⊙ 장시간 진행될 때에는 지도자의 서있는 위치를 바꿔준다.
    ⊙ 프로그램의 순서와 대형을 바꿀 때에는 다음 순서와의 연결이 끊어지지 않도록 자연스럽게 한다.
    ⊙ 간단한 상품을 준비하여 분위기 고조
    ⊙ 클라이막스를 잘 포착
    ⊙ 마무리 때는 모두 일어서서 원을 만들어 양손을 잡게하거나 어깨동무를 하게 하여 의식있는 노래(아침이슬,석별의 정,선구자,우리의 소원은 통일,만남,넌 할 수 있어,사랑으로 등)를 부르도록 유도
    ⊙ 마지막 전체 작별 인사는 '석별의 정', '친구여'노래를 같이 부르거나 아니면 카셋트 테이프로 배경음악을 틀어 놓고 지도자는 임의의 한사람을 불러 안쪽 원으로 돌아 서게 하여 왼쪽으로 계속 악수와 인사를 나누며 원점까지 돌게 되는데 이때 옆사람도 차례대로 줄줄이 따라 돌게 한다.(행운을 빌어 주는 인사 나누기)
    ⊙ 지도자의 마무리 인사와 의미있는 코멘트는 참가자들로 하여금 의미있는 노래를 하게 하되 1절은 가사로, 2절은 허밍으로 하게 하여 허밍을 하는 도중에 실행하면 효과적이며 멋도 있다.
    ⊙ 프로그램의 시작과 마무리때 적절한 멘트활용
  예)  * 시작 - 프로그램의 목적, 기능, 중요성 등 설명, 노래시작
       - 덴마크속담에 '혼자있을 땐 책을 읽고 둘이 있을 땐 대화하고, 셋이 있을 땐 즐겁게 노래하자'라고 했습니다. 이시간 다함께 한마음 한목소리로 '사랑해' 노래를 불러봅시다.
       * 마무리 - 새로운 인생의 설계,다짐,출발 등 조언
       - 20세기의 최고의 성자 슈바이처박사는 이런말을 하였습니다.
         '이세상 최대의 이단은 교리상의 문제가 아니라 바로 사랑하지 않는 것이다'라고 했습니다. 플라톤은 '사랑을 하고 있을 때는 누구나 시인이 된다' 고 말했습니다. 믿음, 소망, 사랑중에 '사랑'이 최고입니다. 이제  이러한 사랑을 새롭게 간직하며 친구와 이웃,나라를 사랑합시다.
    ⊙ 집단지도에 있어서 프로그램의 목적은 참가자들의 바람직한 변화를 꾀하는 것이기 때문에 유능한 지도자는 그 집단의 주연배우가 되는 것이 아니라 중간에 서서 조역을 할 뿐이다. 참가자들 모두가 주연배우가 될수 있도록 '보이지 않는 힘'으로 지도하여야 한다. 작가미상

출처 : 진행의 준비와 요령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