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용 작 물
인 삼 (人蔘)
<주요성분 및 이용>
○ 주성분은 Panaquilon, Panaxin, Panax, Sapogen 등이 무정형으로 함유되어 있고
○ 약효는 보혈, 강장, 건위, 식욕부진, 구토, 피로감, 신경쇠약, 당뇨병 등에 쓰이고 있다.
<종 류>
○ 다년생 초본인 “삼”은 산삼(심산에 자생하는것)과 인삼(재배하는 것)으로 구분하며
○ 인삼도 인공적 육종으로 개량된 신품종은 없고 재배지에 따라 “만주인삼” “개성인삼” “회진종” “운주종” “일본종”등으로 불리우고 있으나 같은지역 및 동일조건에서 재배하면 성상 및 생산물로서 전연 식별할 수 없다.
○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인삼은 우량계통으로 인정되고 있으며
- 키는 60cm내외이고 뿌리줄기가 짧고 마디가 있으나 하부에 비대한 흰색 다육의 곧은 뿌리가 있고 많은 뿌리가지가 갈라 졌으며
- 줄기는 하나로 되어 곧게 섰고 줄기 끝에 3~4개의 잎이 둘레나기로 나 있다.
인삼재배포장 |
인삼의 형태 |
|
|
직 삼 |
삼 계 탕 |
예정지 선정
○ 기후ㆍ토양 : 북(동북)향으로 통풍이 잘되는 완경사지나 평탄지로 배수양호한 양토~식양토로 비옥도 중정도의 숙전이면 전국적으로 재배가 가능하다.
- 초작지가 양호하나 윤작의 경우 밭 10년, 논 6년이상 경과해야 좋다.
예정지 관리
○ 기경 : 휴한기간(1~2년간) 15회이상 깊이 갈이
○ 밑거름 시용(6~7월중) : 산야초나 활엽수잎을 4,500kg/10a이상 살포하고 20cm이상 깊이 갈이한다.
개갑 관리
○ 기간 : 7월하순~11월상중순(주시기 : 7월하순~8월 5일 이전)
○ 장소 : 서늘하고 그늘진곳(20℃이하유지)으로 물주고 빼기가 편리한곳
○ 용기 : 시멘트, 나무상자 등(종자량의 8~10배)
○ 매장방법 : 씨앗 1 : 모래 3 비율
<개갑처리 및 방법>
<관수요령>
○ 배수구에 물이 충분히 스며 나올 정도로 관수
시기 |
회수 |
비고 |
7월하순~9월중순 |
1일 2회 |
ㆍ 아침저녁 |
10월 중순까지 |
1일 1회 |
ㆍ 우천시 생략 |
10월 중순이후 |
2~3일에 1회 |
ㆍ 우물물이나 지하수 |
이랑 만들기
○ 시기 : 10월중순 ~ 11월중순
<방 향>
<규 격>
두둑폭 |
고랑폭 |
이랑폭 |
두둑높이 |
90cm |
90 |
180 |
30cm 내외 |
(양직묘포) (본포 및 반 양직묘포)
파 종
○ 시기 : 10월하순~11월중순(가을뿌림원칙)
구분 |
파종거리 |
행렬 |
파종량 |
대립종 |
3.0X3.6 |
29행X50렬 |
1,450립 |
중립종 |
3.0X3.0 |
29X60 |
1,740 |
○ 파종면적 - 홍삼포 : 본포면적의 1/10
- 백삼포 : 본포면적의 1/8
본포 관리
○ 이랑작성 : 방향, 규격 등 묘포와 동일
○ 이식기 : 3월하순~4월상순
○ 재식밀도 (기준 90×180cm)
<해가림 설치구조>
○ 피복물 : 발 1겹, 그 위에 이엉 4~5겹 덮음
수 확
○ 수확년근 : 홍삼포 → 6년근
백삼포 → 4, 5년근
○ 수확시기 : 홍삼포 → 9~10월
백삼포 8~10월
본포 병해충 방제
○ 4월중하순 : 모잘록병, 회색곰팡이병, 줄기 반점병
- 바리문+스미렉스 또는 포리옥신
○ 5월상순 : 민달팽이 → 모캡입제
- 줄기 반점병, 역병 : 포리옥신 +리도밀
○ 5월 중순
- 땅강아지, 참검정풍뎅이, 애우단풍뎅이, 먼지벌레 : 카운타 또는 립코드, 데시스
○ 5월 하순 : 잎반점병, 탄저병
- 포리옥신 + 다이센엠 45
○ 6월 상순~7월 상순 : 잎 반점병, 탄저병
- 포리옥신+다이센엠-45 또는 석회보르드액
○ 7월 중순 : 큰 검정풍뎅이 성충 - 모캡입제
○ 7월중하순 : 6월상순 ~ 7월상순과 동일
○ 8월상순 : 거세미류 → 립코드
- 잎 반점병, 탄저병 : 7월중하순과 동일
○ 8월중순~9월중순 : 잎반점병, 탄저병방제
○ 10월중하순~11월(복토전) : 월동병해충
- 스미렉스 또는 석회보르드액
<양질인삼 생산요건>
1. 우수예정지 선정 및 관리 2. 우량묘삼 식재 3. 청초 증시에 의한 토양개량 4. 튼튼한 해가림 설치 5. 생력재배 삼농추진 |
모잘록병
|
회색곰팡이병
|
역병 |
점 무늬병 |
구 기 자 (枸杞子)
<재배작형>
<주요성분 및 이용>
○ 과실(구기자) : Betaine등의 성분으로 자양, 강장, 간세포신생 촉진 한약제와 차, 약용과실주, 드링크제가 개발 이용되고 있다.
○ 잎(구기옆) : 모세혈관 강화효과 Rutin 물질 함유 차로 끓여 먹는다.
○ 뿌리껍질(지골피) : Betain, Tanicacid 성분으로 한방에서 소염, 해열, 자양강장, 당뇨병, 폐결핵, 진해, 명목 등에 사용된다.
<주요 품종>
○ 현재 많이 재배되고 있는것 : 청양재래종, 진도종, 유성 1,2호가 있다.
※ 주요 품종특성 및 수량성
성숙기의 구기자
|
구기자 뿌리굴취
|
구기엽 줄기 |
생약재 상 중 하 |
재배 적지
○ 기후ㆍ토양 : 내한성이 매우 강하여 전국 어디나 재배 가능하나 중부이남 지역이 유리하며 토양은 비옥도가 중정도이고 배수가 잘되는 식양토 또는 사양토가 생육에 매우 유리하다.
재배 기술
○ 번식법 : 꺾꽂이, 휘묻이, 포기나누기 종자 파종이 있는데 꺾꽂이 번식이 많이 이용된다.
- 꺾꽂이 : 보통 3월하순~4월하순에 실시하며 삽수는 15cm정도 크기에 45°각도로 심은후 땅위 2~3cm정도만 보이도록 한다.
- 휘묻이 번식 : 7~8월에 새로 뻗은 충실한 가지에 흙을 덮으면 뿌리가 내리므로 가을이나 봄에 일찍 정식한다.
- 포기 나누기 : 10월하순, 봄에 포기를 완전히 캐내어 나누어 심는다.
○ 전정 : 식재 다음연도부터 실시
- 봄철 : 해동직후 봄 싹트기전에 지상부 15cm부위에서 묶은가지 절단
- 여름철 : 봄에 돋아난 잎을 6월 25일경 요소 15%액으로 적엽시키고 7월 5일경 90~110cm에서 봄에 나온 상단부의 줄기를 절단하면 7월이후에 착생된 신생가지에서의 화아분화 촉진과 수확 회수가 단축된다.
○ 순지르기 : 과실(구기자)생산 목적 재배시 필요하고 구기엽 생산시는 1차만 실시한다.
- 1차 : 5월하순 90cm이상 자란가지 끝을 10~15cm정도 잘라준다.
- 2차 : 8월 15일경 실시하되 이때는 땅에 닿은 줄기나 무성한 잎을 일부따서 구기엽으로 사용하면 생식생장이 촉진된다.
○ 거름주기 : 밑거름은 전층시비하고 웃거름은 1차 6월하순, 2차 8월중순에 시용한다.
<시비방법에 따른 수량>
- 2년차 부터는 땅이 풀리면 즉시 밑거름을 주고 웃거름은 1년차에 준한다.
병해충 방제
○ 탄저병 : 구기자 나무에 치명상을 주고 6월말부터 발생하기 시작 장마기에 피해가 심하다.
- 예방대책으로 유기물을 증시하고 심경으로 땅심을 높여주고
- 발병시는 베노밀수화제등을 10일간격으로 4~5회 살포한다.
○ 구기응애 : 3월 중순부터 발생 7월하순부터 8월상순에 피해가 가장 심하다.
- 벌레 혹을 형성 아랫잎부터 변하여 낙엽이 되므로 병으로 오진하기 쉽다.
- 발병시는 4월부터 8월까지 월 1회씩 알리포유제 1,000배액을 골고루 뿌려준다.
수확 및 조제
○ 수확은 정식 당년부터 가능하나 8월하순부터 ~ 11월중하순이 적기이다.
- 대체로 잘 익은 것부터 수시로 수확하는데 햇볕 또는 화력 건조한다.
- 구기엽은 1년에 4~5회 걸쳐서 베는데 적기는 새싹이 30~40cm자랐을 때이다.
- 지골피는 뿌리를 캐서 깨끗하게 물로 씻고 껍질을 벗겨 말리는데 8월중순이후에 채취한다.
황 금 (黃芩)
<재배작형>
<주요성분 및 이용>
○ 주성분 : Flavonoid의 유도체로서 Woogonin, Baicalin 함유
○ 약리작용 : 해열, 이뇨, 항바이러스, 항균, 진정, 혈압강하, 혈당상승, 이담억제작용 등이 있어
○ 한방에서 이들 작용을 기초로 각종 처방약으로 사용하고 있다.
<성상 및 품종>
○ 황금 품종은 단일종으로 중국이 원산지이나 우리나라에도 각지에 자생한다.
○ 잎은 줄기의 마디에 마주나며 잎몸은 진한 녹색을 띤다.
○ 줄기는 모난 사각형으로 담록색 바탕에 갈색 세로줄무늬가 있고 기부는 목질화하며 짧은 털이 많다.
- 원줄기는 30~50개의 마디가 있고 마디사이 길이는 1.5cm정도이며 원줄기에서 나온가지(1차분지)와 2차분지가 많이 발생한다.
○ 꽃은 7월하순부터 피기 시작하며 꽃받침은 녹색이며 둘로 갈라져 있다.
○ 뿌리는 겉껍질이나 속살 모두 황갈색을 띤다. 1년생은 원뿌리만 비대하고 다년생은 곁뿌리도 비대한다.
황금의 맹아초(본밭)
|
개화기의 황금
|
2년생 황금의 생뿌리 |
황금 생약제 |
재배 적지
○ 중남부 지역에서 재배하는 것이 유리하며
○ 토질은 물빠짐이 좋은 식양토나 양토로 토심이 깊고 유기물이 많은 곳이 많다.
재배 기술
○ 번식 : 종자, 삽목, 분주로 가능하지만 종자 파종법이 많이 이용되고 직파재배와 육묘이식 재배법이 있다.
○ 종자채취 : 잎이 누렇게 변하고 종자가 검게 익었을때 줄기를 베어 말린후 털어서 정선하여 사용한다.
○ 파종기 : 늦은 가을(11월 상중순)이나 이른봄(4월상순)에 하는것이 일반적인데 가을파종이 발아율이 높다.(극남부지방은 맥후작 재배가 이루어지며 흑색비닐 피복재배는 4월 20일이 적기임)
<파종기별 수량변화>
○ 파종량(본밭 10a당)
- 1년생 가을 수확목적 직파재배 : 2ℓ
- 2~3년생 수확목적 직파재배 : 1.5ℓ
- 2~3년생 수확목적 육묘이식재배 : 0.8ℓ
<직파 재배>
○ 밑거름 전층시비후 폭 120~150cm의 두둑에 30~40cm간격으로 작은골을 치고 조파 또는 산파한다.
○ 점뿌림하여 2~3년생으로 수확하고자 할 경우는 두둑 10~15cm간격으로 2~3알씩 파종한다.
<육묘 이식재배>
○ 모기르기 육묘상 : 1년생 수확목표의 경우 본밭 10a당 50㎡, 2~3년생 수확목표의 경우 20㎡가 필요하며 두둑을 치고 줄뿌림한 후 복토하고 짚이나 왕겨를 피복하여 충분히 물을 주어 발아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 정식 : 1년생 수확목적의 경우 6월 하순경이 되면 모가 6~7cm크므로 밭에 습기가 충분할 때 옮겨심고 심는간격은 직파재배와 같다.
- 2~3년생 수확목적의 경우는 8월 묘상 파종 늦가을 줄기와 잎이 누렇게 변한후부터 이른봄 싹이 올라오기전 골사이 40cm, 포기사이 10cm간격으로 심는다.
<시비량과 수량성>
주요 관리
○ 김매기 때 밴곳은 솎아내 결주된 곳 보식
○ 장마철 배수불량지 뿌리가 부패하므로 배수구를 깊이 설치해 주어야 한다.
수확 및 조제
○ 늦가을 뿌리를 캐내 깨끗이 닦고 햇빛에 건조 시키는데 건조시일이 너무 걸리면 뿌리가 청색으로 변해 상품가치가 떨어진다.
○ 생약재로서의 황금은 황색인것이 우량품이며 목부 중심부가 검지않고 공동이 없고 무거우며 쓴맛이 있는 것이 상품이다.
당 귀 (當歸)
<재배 작형>
<주요성분 및 이용>
○ 참당귀(조선당귀) : Decursin, Decursinol등 주요성분을 함유 자궁기능조절, 진정, 진통, 이뇨, 비타민E 결핍증 치료 작용 등의 약리작용이 있어 한방 치료약으로 쓰이고
- 어린순은 식용나물, 생뿌리는 술로 담가 먹는다.
○ 왜당귀(일당귀) : Bergapten등 주요성분을 함유 온성 강장약으로 빈혈치료, 산후진정, 통경약으로 쓰인다.
<종 류>
○ 당귀는 참당귀의 뿌리를 기원으로 하고 있으나 일본은 일당귀를 재배하고 있다.
- 참당귀(조선당귀, 토당귀) : 우리나라와 중국 동북부 지역에 자생분포하고 우리나라 경북 봉화, 강원 평창, 삼척, 정선, 인제 등에 많이 재배되고 있으며
- 왜당귀(일당귀) : 일본 북부지역에 야생하고 재배되고 있는데 일본 수출목적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일부 재배하고 있다.
※ 참당귀와 왜당귀의 주요특성
구분 |
줄기색 |
줄기직경 (cm) |
키(m) |
꽃색 |
개화기 (월) |
향 |
잎모양 |
참당귀 |
암록색 |
2.0~3.0 |
1.0~1.5 |
담자색 |
8~9 |
뿌리 |
1~2회 3출소 엽 3~5중열 |
왜당귀 |
적자색 |
1.0 |
0.6~1.0 |
담황백색 |
6~7 |
전초 |
소엽은 유병 재분열 |
참당귀 재배포장 |
수확기의 참당귀(좌)와 일당귀(우) |
당귀 선충피해뿌리(좌) 정상뿌리(우) |
생약재 참당귀(좌)와 일당귀(우) |
재배 적지
○ 기후ㆍ토양 : 산간 고랭지 재배가 유리하고 특히 일 교차가 크고 일사량이 많은곳에서 생육이 잘되고 품질도 우량하며 토양은 토심이 깊고 물빠짐이 좋으면서 수분유지가 잘되는 양토나 사양토가 좋다.
재배 기술
○ 직파하여 당년에 수확하면 육질은 연하나 수량성이 낮고 약효성분 함량이 떨어지므로 한약재는 2년생을 수확하므로 육묘이식 재배하고 있다.
○ 모기르기 : 본밭 10a당 종자 500g 파종시 산파는 10㎡, 조파는 15㎡가 소요된다(모판은 1.2~1.5m의 넓이에 높은 두둑)
○ 파종기 : 땅이 얼기전 늦가을이나 땅이 풀린 이른봄에 파종(가을 파종이 발아잘됨)
※ 발아 억제물질 제거 : 특히 봄 파종시 흐르는 물에 3일이상 담가 종자를 모래와 섞어 마르지 않게 보관 7일이내 파종한다.
○ 정식 : 3월하순~4월하순까지인데 일찍심는것이 뿌리내림이 좋은 반면 꽃대 발생은 늦게 심는것이 적다.
<참당귀 재식기별 추대율>
처리내용 |
추대율(%) |
수량(kg/10a) | |
건근중 |
지수 | ||
4월 중순이식 |
42 |
231 |
100 |
4월 하순이식 |
19 |
291 |
126 |
5월 중순이식 |
3 |
282 |
122 |
- 40~45cm이랑에 45°각도로 묘끝이 구부러지지 않도록 20cm 간격으로 심고 묘두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흙을 긁어 올린후 가볍게 눌러준다.
○ 시비 : 생육초기 질소비료를 많이 주면 줄기와 잎이 무성하고 꽃대가 많이 올라오는 경향이 있으므로 생육후기 추비중점 시비가 필요하다.
- 밑거름은 퇴비중심 전층 시비하고 웃거름은 생육상태를 보아 생육이 나쁘면 6월 상순에 10a당 질소(2kg 정도)만 주고 생육이 좋으면 7월말경에 질소(8kg)와 칼리(3kg)를 시용한다.
주요 관리
○ 묘상 : 발아후 생육 진전시 제초와 함께 밀식된것은 솎아준다.
○ 본밭 : 꽃대가 올라오는 포기는 뽑아 버리고 제초제는 정식후 3일이내에 펜디입제를 뿌려주고 6월 중순경에 큰풀만 뽑고 북주기를 한다.
병해충 방제
○ 균핵병이나 차응애, 선충등이 발생하므로 경종적 대책인 예방에 주력하고 발생시 약제방제는 사용에 주의를 요한다.
수확 조제
○ 정식한 그해 가을 11월상중순 잎이 누렇게 변하면 뿌리가 상하지 않게 캐낸 다음 흙을 털고 건조시킨다.
- 총 수확 소요시간(시간/10a/1인)
- 인력 : 146.8→소형포크레인 : 56.7(38.6%)
○ 뿌리 형태 교정후 60℃이하의 건조기에서 건조시킨 것으로 껍질이 황갈색이고 속은 황백색이며 직경 3cm, 길이 20cm 이상인 것이 규격품이다.
두 충 (杜沖)
<재배 작형>
<주요성분 및 이용>
○ 두충나무 껍질에는 Gutta Percha가 Chloroform가용성으로 6.5%정도 함유되어 있어
- 약리작용으로는 혈압강하, 진정, 진통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한방에서는 강장약, 진통약, 진정약, 요통약, 소변을 자주보는 증상의 치료약으로 쓰이고 있다.
<성상 및 종류>
○ 두충나무는 중국 특산물로 키는 15m, 줄기 직경은 40cm 정도까지 자라며 잎이 넓고 가을에 잎이 떨어지며
○ 줄기가 곧게 자라며 많은 가지를 내며 껍질은 갈회색을 띠는데 껍질을 벗겨서 자르면 고무같은 점질의 실이 나온다.
○ 두충의 종류는 원두충(중국산과 우리나라산), 대두충(대만), 일두충(일본), 화두충(사철나무껍질)으로 구분하는데
- 한약에서는 당두충(唐杜沖), 원두충(元杜沖)이라고 하는것은 화두충(和杜沖)과 구별하기 위해서 만든 이름이며
- 가격 및 수요면에서 원두충을 재배 하는것이 유리하다.
○ 요즈음에는 잎과 종자가 강장약으로 사용되고 잎은 차나 담배로 가공 이용되기도 하는데
- 특히 잎은 차로 이용되고 중국인들 사이에는 고혈압 치료제로서 선약처럼 알려져 있다.
20년생 두충나무
|
20년생 두충나무의 목질부
|
두충의 종자 |
두충나무의 껍질(생약재) |
재배 적지
○ 기후ㆍ토양 : 우리나라 고랭지를 제외한 전지역에서 재배가 가능하며 비교적 토양 수분이 잘 유지되는 비옥지로 토심이 깊고 물빠짐이 좋은 사질양토~식질양토가 적지이며 곡간지, 산록의 완경사지, 개간지, 하천유역 퇴적지에도 재배가 가능하다.
재배 기술
○ 번식은 종자나 꺾꽂이가 가능하지만 꺾꽂이는 발근율이 나쁘므로 실생묘 번식이 일반적이다.
○ 종자준비 : 10월하순경 낙엽이 진 후에 채취 정선 노천매장을 한다.
○ 파종상준비 : 너비 1.2m, 작업보도 50cm로 구획 높이 10cm 이상의 파종상을 만들고 상면을 고른다.
○ 씨뿌리기 : 3월이 되어 얼음이 풀리고 기온이 올라가기 시작하면 노천매장 한 종자에서 싹이 트기 시작할때가 파종적기이며
- 파종량은 3.3㎡당 1㎗(약 1,400)를 기준으로 뿌린다.
○ 묘판관리 : 씨뿌린후 1개월이면 싹이 올라오므로 피복볏짚을 걷어주고 밤에는 늦서리에 대비 비닐을 덮어주고 가뭄피해 대비 관수 및 제초작업을 겸한 솎음질을 하여 평당 330~450본 정도 자라도록 한다.
<1년생 묘목 월동관리>
○ 가을이 되면 20~40cm정도 자라므로 월동중 서릿발피해 및 바람으로 인한 고사를 방지하기 위해 늦가을에 캐내어 40cm이상 큰묘와 작은묘로 구분하여 깊이 가식한다.
<옮겨심기와 2년생 묘목양성>
○ 얼음이 풀리면 깊이 가식했던 1년생 묘목을 파내어 산지식재 가능묘목(지상 40cm이상)은 정식하고 2년생 묘목은 출하한다.
○ 정식적기 - 봄심기 3월상순~4월하순
- 가을심기 10월하순~11월상순
- 심는방법 : 재식은 10a당 300~500주로 밀식하며 아랫가지를 없애고 원줄기가 잘 크도록 지하고(枝下高)를 높여 주어야 양질의 생약재를 많이 생산할 수 있고 6~7년후 간벌에 의한 중간수입도 기대할 수 있다.
ㆍ 10a당 300주 : 사방 1.8m간격 ㆍ 10a당 500주 : 줄사이 2m, 주간 1m간격 |
주요 관리
○ 거름주기 : 심은후 2년차부터 6월상순이전 산림용 고형비료를 주당 60g(4개)씩 주되 나무가 커감에 따라서 양을 늘린다.
○ 제초 : 심은후 2~3년간 나무주변 제초를 철저히 해주고 4년차부터 6월중하순과 8월중하순 2회에 걸쳐 제초작업후 나무주변에 깔아준다.
병해충 방제
○ 뿌리썩음병 : 배수가 잘되도록 정비한다.
○ 흰불나방 : 발생초기 디프유제나 나크수화제를 뿌려 방제한다.
○ 심식충 : 발견즉시 다수진수화제나 포스톤유제등의 약제로 방제한다.
수확과 조제
○ 수확기 : 생장좋은것은 심은후 8년 (생육좋지 못한것은 심은후 12년)
- 베는 시기는 수액유동이 왕성한 6월상중순이 가장좋고 지상 6~9cm 정도 남기고 잘라 맹아 생장을 도와야 한다.
○ 조제 : 35cm정도 길이로 껍질을 벗겨 건조기에서 60℃이하로 건조 또는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음건한다.(10년생의 경우 주당 3kg이상 수확)
시 호 (柴胡)
<재배 작형>
<주요성분 및 이용>
○ 시호는 뿌리 부위를 이용하는데 Saikosaponin류, 당류, 지방류, 스테롤류등의 주요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 약리작용으로는 해열, 진통, 진정, 항균, 항바이러스 작용이 있어 한방약으로 쓰이고
○ 제약회사에선 시호탕류의 드링크제 원료로 쓰인다.
<종 류>
○ 개시호 : 우리나라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 좀시호 : 제주도에 만 분포한다.
○ 참시호 : 제주도와 백두산에 분포 자생한다.
○ 시호 : 우리나라 전국각지에 분포하고 일본미시마(三島)시호도 시호의 일종이다.
○ 중국 생산시호 : 우리나라 분포종과 다르다.
기계파종한 생육중기의 시호
|
생육중기의 시호
|
트랙터부착 굴취기로 수확하는 시호 |
시호 생약재 |
재배 적지
○ 기후ㆍ토양 : 우리나라 어디서나 재배 가능하나 생육기간이 긴 중남부가 유리하고 토심이 깊고 물이 잘 빠지며 유기물 함량이 많은 식양토나 양토로 비옥한 토양이 좋다.
재배 기술
○ 채종 : 생육 양호한 2년생 포기선택 채종
○ 재배양식 : 비옥지 직파 1년생근 수확유리
※ 1, 2년생 뿌리간 약효성분 차이가 크지 않고 오히려 1년생 뿌리가 약간 많은 것으로 밝혀짐
○ 파종기 : 늦가을(11월상순~하순)이나 이른봄(3월중하순)에 가능하지만 늦가을 파종이 발아율이 높다.
○ 파종법 : 염수선(비중 1.03) 또는 봄 파종시는 흐르는 물에 2일이상 담가 발아억제물 제거후 파종한다.
- 폭 90cm 두둑에 골사이 20cm로 깊이 1cm정도 골을 파고 조파 또는 인력파종기 이용 1cm 깊이 5cm 간격으로 파종하고
- 수분보존을 위해 볏짚으로 덮어준다.
○ 시비 : 보통 10a당 퇴비 2,000kg, 복비(18-18-18) 50kg을 전층시비하고
- 웃거름은 6, 7, 8월 중순에 웃거름 전용복비(18-18-18)를 1회에 10kg씩 준다.
주요 관리
○ 제초 : 파미드와 리누론수화제가 약해적고 입모율도 높아 효과적이다.
○ 피복볏짚제거 : 발아후 2/3정도 출현하면 볏짚을 걷어준다.
- 빨리 걷어주면 발아 출현이 불량하고 늦으면 웃자라서 볏짚제거시 부러진다.
○ 솎음 : 본엽 2~3매시 솎아준다.
○ 순지르기 ; 7월 상중순경 원줄기 40cm 자라면 30cm정도 남기고 잘라주고 다시 50cm가 되면 40cm기준하여 잘라준다.
<순지르기시기 및 방법에 따른 수량성>
처리내용 |
수량지수 |
상품비율 |
도복정도 |
무처리 |
88% |
73.5% |
심 |
초장25, 35cm일때 5cm예취 |
91 |
76.0 |
- |
초장40, 50cm일때 10cm예취 |
102 |
80.5 |
- |
초장25, 35, 45cm일때 5cm예취 |
100 |
79.5 |
- |
병해충 방제
○ 병해 : 입고병, 탄저병, 갈색점무늬병, 빗자루병등이 피해를 주므로 일부 효과인정 약제를 살포하나 품목고시가 되어 있지 않아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 충해 :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섬서구메뚜기, 뿌리혹선충 방제를 위해 윤작등으로 피해를 경감시킨다.
수확 및 조제
○ 수확기 : 11월중하순 얼음이 얼기전
○ 수확조제 : 수확전 줄기를 20cm정도만 남기고 자른후 뿌리를 캐내어 잔뿌리를 제거하고 맑은 물에 씻어 지상부를 자르고 뿌리만 건조시킨다.
<다목적 수확기이용 노력절감 효과>
수확방법 |
수확시간(시간/10a) |
수량(kg/10a) | ||
소요시간 |
생력효과 |
건근수량 |
손실율 | |
손수확 |
118.8 |
- |
65 |
- % |
다목적수확기 |
36.8 |
69 |
61 |
6.1 |
작 약 (芍藥)
<재배 작형>
<주요성분 및 이용>
○ 작약은 뿌리를 이용하는데 주요성분으로 Paeoniflorin 함량이 풍기작약 2.6%, 의성작약 3.2% 정도 함유되어 있어
○ 약리작용으로는 진경ㆍ진통작용, 항균ㆍ항진작용, 지한ㆍ이뇨작용으로 한방에서 진경, 진통, 두통, 복통, 조경약으로 쓰인다.
<종 류>
○ 백작약 계통 : 백작약, 산작약
- 수량 다, 눈크고 뿌리통통, 자른면이 즉시 백색, 꽃이 백색많고 적색이 있는것
- 뿌리 껍질은 유백색에 황색빛이 들어있다.
○ 적작약 계통 : 작약, 적작약, 침작약, 호작약 외 화훼용으로 개발되어 도입된 종도 있다.
- 수량 소, 눈작고 뿌리가는 편 자른면이 백색되지 못함, 꽃이 적색 많고 적색이 있는 것
○ 1994년 경북지역에서 “의성작약”이 선발 보급되고 있음
- 뿌리전체 수량 : 풍기작약대비 의성작약이 32% 증수
작 약
|
3년생 생육초기의 작약
|
5년생 작약뿌리 |
작약 생약재 |
재배 적지
○ 기후, 토양
- 적작약 계통 : 우리나라 전역에 재배 가능하나, 중남부지역이 유리하며
- 백작약 계통 : 고산지 분포 자생한다.
- 토양 : 토심이 깊고 물빠짐이 좋은 식양토나 양토로 유기물이 많은곳이 좋으나 연작을 싫어하므로 2~3년간 윤작 재배한다.
재배 기술
○ 종자번식 : 분주모 구입이 어려울때 또는 품종 육성시 이용(타화수정으로 잡종이 되기 쉬움)
- 종자채취 : 8월하순 꼬투리 누렇게 될 때
- 파종기 : 채종즉시 또는 저장후(수분유지) 10월초순경 싹트기 시작 백색 뿌리가 약간 보일때 꺼내어 파종한다.
※ 작약은 가을에 뿌리가 내리고 봄에 지상부가 출현하는 특성이 있다.
- 묘상설치 : 10a당 25㎡정도 묘상필요
- 파종후 관리 : 물주기, 볏짚 피복과 해동과 동시 걷어주기 등
○ 포기나누기 : 모주의 형질 및 특성유지와 육묘 노력과 기간을 단축할 수 있어 대부분 포기나누기로 번식
- 시기 : 9월하순 ~ 10월상순
- 방법 : 머리부분을 쪼개 한 그루에 건전한 싹눈을 3개씩 붙도록 하고 씨뿌리 1개 무게는 50g 정도가 되며 10a당 소요량은 180kg정도가 된다.
○ 정식기 : 9월하순 ~ 10월상순
○ 본밭준비 : 한번 심으면 3년이상 되어 수확이 가능하므로 충분한 유기물을 넣고 2~3회 심경 후 폭 60cm 또는 120cm 두둑을 만들고 심는다.
<적정 재식거리>
○ 거름주기 : 밑거름은 전층시비(퇴비중심)가 되도록 하고
- 웃거름은 4월과 6월에 복비로(10-10-11) 25kg씩 뿌리에 닿지 않도록 주고 2, 3년차는 해빙기에 밑거름주고 웃거름은 1년차에 준해준다.
주요 관리
○ 잡초방제 흑색 비닐피복 재배
○ 동해와 건조피해방지로 싹위에 흙을 약간 두껍게 덮어준다.
○ 약제생산을 위해서는 꽃 봉오리가 올라오면 잘라주고(적뢰) 김매기 철저
병해충 방제
○ 잿빛곰팡이병, 검은별무늬병, 탄저병, 점무늬병등이 발병되므로 경종적 대책이 주요하며 개각충, 하늘소벌레, 진딧물 등 방제 농약 살포에 주의를 요한다.
수확 및 조제
○ 수확시기 : 심은후 3~4년차 가을에 잎과 줄기가 마르기 시작할 때 뿌리 발육 상태와 가격을 고려 수확여부를 결정한다.
※ 노두번식 수확년차별 수량성(생근중 지수) - 2년차(40%) → 3년차(100%) → 4년차 (102%) (3,224kg/10a) |
○ 건조 : 햇빛에 40~50% 건조후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음건 하는것이 좋다.
- 길이 10cm, 지름 1cm 이상 바깥 회갈색, 안쪽 백색이어야 한다.
택 사 (澤瀉)
<재배 작형>
<주요성분 및 이용>
○ 주성분 : Alisol, Choline, 전분, 단백질 등
○ 약리작용 : 이뇨작용과 콜레스테롤저하 작용
○ 한방 : 소변불리, 수습종창, 임탁요통, 염습현운 등
<품 종>
○ 시험연구기관에서 육성 보급한 품종은 없으며 모두 재래종 뿐이다.
- 율택(택사) : 뿌리의 모양이 둥근원형인 것.
- 안택(질경이 택사) : 굴곡이 많은 것.
※ 안택은 꽃대가 여러개 올라와 꽃대 제거에 노력이 많이 들고 뿌리에서 새끼를 많이 칠 뿐아니라 뿌리줄기의 비대도 율택만 못하고 굴곡 때문에 조제하는데도 노력이 많이 들어 율택을 선택 재배하는 것이 유리하다.
개화 성숙기의 택사 |
택사의 종자 |
가공전의 택사 뿌리 |
택사 생약재 |
재배 적지
○ 단작 재배도 가능하나 남부 지역에서는 벼조기재배 뒷그루로 많이하고 있는데 수량차이가 별반 없으며
○ 토양은 물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는 양토나 식양토의 비옥한 논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다.
재배 기술
○ 파종기 : 육묘기간 35~45일후 본포에 정식하게 되므로 정식 포장사정을 고려하여 파종기를 결정한다.
- 단작의 경우 : 5월상순~6월하순
- 벼 조기재배 뒷그루 : 7. 10~7하순까지 파종한다.
<파종기 별 묘령에 따른 수량성>
○ 못자리 면적과 파종량 : 본답 10a당 묘판 소요면적은 66㎡이고 종자는 1ℓ내외가 필요하다.
○ 묘판작성 및 파종방법 : 벼 못자리 만드는 방법과 파종법을 따르되 종자는 약 10배 정도의 잔모래와 섞어서 묘판전면에 고르게 흩어 뿌려준다.
○ 묘상관리 : 파종후 발아전 고랑에만 물을 대고 발아후 밤에는 상면위까지 물을 얕게 대고 낮에는 골에만 물이 고이도록하며 묘가 커감에 따라 물을 조금씩 더 넣어 3cm 정도로 관리한다.
- 발아는 파종후 6~7일이 되면 싹이 올라오기 시작 10일이 지나면 완전히 끝난다.
○ 정식 : 파종 35~45일후 초장 10~15cm 본엽 8~10매가 되면 옮겨 심기에 알맞은 묘가 된다.
- 거름주기 : 생육기간이 짧고 다비성 식물이므로 밑거름 중심으로 재배한다. (퇴비중심)
- 심는방법 : 벼 모를 심는것과 같이 줄을 띄어가며 1주 1본식 얕게 심는다.
<심는 거리와 수량성>
주요 관리
○ 잡초제거는 2~3회 손으로 뽑아주고
○ 꽃대가 올라오면 굳기전에 포기 아랫 부분에서 잘라준다.
- 꽃대를 그대로 두면 덩이뿌리 비대 생장이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심(목질부)이 생겨 껍질을 벗길때 꽃대가 나왔던 부위가 단단하여 깎기가 힘들다.
병해충 방제
○ 적고병(불맞는 병)과 진딧물이 발생 피해를 주는데 택사전용 품목고시 농약이 없으므로 발병초기 타 작물 사용약제를 사용하되 주의를 요한다.
수확 및 조제
○ 수확 : 늦가을 줄기와 잎이 시들어 갈 때 수확한다.
○ 건조 조제 : 수확후 물에 씻은 덩이뿌리는 7일정도 햇볕에 건조 약간 마른것을 껍질과 줄기를 깎아버리고 다시 햇볕에 완전히 말린다.(상등품은 순백색으로 질이 단단한 것이므로 건조, 조제에 신경을 쓴다.)
산 약 (山藥, 마)
<재배 작형>
<주요성분 및 이용>
○ “마”에는 전분이 15~20%, 단백질 1.0~1.5% 함유하며 비타민 C도 풍부하고 약효성분으로 Saponin, Mucin 등이 함유되어 있어
- 약리작용으로는 자양, 소화촉진, 지사, 거담 등에 알려져 있어 한약재로 널리 쓰이지만 건강식품으로 생으로 갈아서 또는 구워서 각종 부침을 하여 먹기도 한다.
<종 류>
○ 재배마는 덩이 뿌리 모양에 따라 “긴마”(야구방망이 모형)와 불장마(긴마의 끝이 말굽모양)가 재배되었으나 일본 도입종 “단마”(大和苧)가 보급되고 있고(′79년 작물시험장) 1992년 일본으로부터 감자모양의 쓰구네(抗根種)를 도입 작물시험장에서 실증시험중에 있다.
※ 재배마의 특성 및 수량성 비교
생육중기 산약포장
|
산약의 영여자
|
종근마와 영여자 |
분기마(불량품) |
재배 적지
○ 기후ㆍ토양 : 전국 어느 곳에서나 재배가 가능하나 생육기간이 길수록 단일에서 덩이 뿌리의 비대가 잘 되므로 남부지역 재배가 유리하며 땅심이 깊고 배수력이 좋으며 유기물 함량이 많은 양토나 사양토에서 잘 자란다.
재배 기술
○ 번식 : 영여자(주아)와 덩이뿌리 번식이 이용되는데
- 영여자는 영양체로 씨뿌리 육성을 목적으로 하고 영여자 채취당년(10~11월) 가을이나 이듬해봄(4월)에 심는다.
- 덩이 뿌리는 잘라서 모종을 기르는 방법으로 반드시 숨은 눈을 붙여서 자르고 크기는 60~70g 정도가 적당하다.
- 덩이 뿌리는 절단면을 베노람수화제로 분의 소독 바람이 잘 통하고 그늘진 곳에 1~2일 말린후 심는다.
○ 정식적기 : 4월 상중순
○ 거름주기 : 퇴비 중심 밑거름을 충분히 주고(퇴비, 석회는 심기 2주전 시용후 경운)
- 추비는 1차(6월하순), 2차(7월중하순)경에 시용한다.
<퇴비 및 질소 시용량별 덩이뿌리 수량>
○ 재식밀도 : 긴 마보다 단마 재배시 밀식의 효과가 높다.
<단마 재배시 재식밀도별 덩이뿌리 수량>
○ 최아처리 : 발아기간이 길기 때문에(1달정도) 발아촉진으로 생육연장 증수기대 되며
- 마의 절편을 에세폰 10,000배액에 30~60분간 담궜다가 그늘에서 말린 다음 심으면 발아 촉진 발아율도 높아진다.
주요 관리
○ 잡초방제 : 정식후 10a당 씨마진수화제 350g을 물 100~120ℓ에 타서 뿌려주고
○ 덩굴이 타고 올라가도록 덕을 설치 유인해 주는데 덕의 간격은 적당하게하고 지주를 1.5~1.8m 높이로 세운뒤 망을 씌워주면 편리하다.
병해충 방제
○ 선충 : 가장 문제되는 것이 토양선충으로 연작을 피하고 윤작을 하며
- 피해증상이 보일때는 후라단입제 등 선충방제약을 뿌리되 품목고시가 되지 않아 주의를 요한다.
○ 응애가 발생하면 디코폴수화제 1,000배액이나 아미트유제 1,000배액을 뿌려준다.
수확ㆍ저장ㆍ가공
○ 수확 : 가을잎이 떨어진 다음부터 이른봄까지 할수 있으며 덩이 뿌리가 상하지 않도록 깊이파서 수확하고
○ 저장 : 건조하지 않은 곳으로 5~10℃가 좋고 영여자의 경우 9~10월 수확 예비 저장하였다가 11월말~12월초에 저장한다.
○ 가공 : 물에 잘 씻어 잔뿌리를 없애고 대칼로 껍질을 벗겨 햇볕이나 건조실에서 말린다.
백하수오 (白何首烏)
<재배 작형>
<주요성분 및 이용>
○ 백하수오의 주요 성분으로는 Cynachotoxin, Phytotoccotoxin이 알려져 있고
- 약리 작용으로는 보강혈, 익정혈, 강근골의 효능이 있다고 하여
- 한방에서 익정, 금창, 한열, 중풍, 이뇨제로 쓰이며 민간약으로 술을 담궈 먹기도 한다.
<종류 및 성상>
○ 하수오는 백하수오와 적하수오로 분류하는 데
- 백하수오는 : 큰조롱의 비대근으로 우리나라에서는 하수오에 준하여 쓰고 있고 중국에서는 적하수오(하수오)와 용도가 다르며 일본에서는 거의 쓰지 않으며
○ 백하수오는 줄기와 잎이 엷은 녹색이고, 뿌리는 황백이며 적하수오에 비해서 가늘고 길게 뻗는다.
- 적하수오는 중국에서 들어온 덩굴성식물의 덩이뿌리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대만에서 하수오라하여 한약재로 쓰이고 있으며
○ 적하수오는 잎이 짙은 녹색이고 줄기는 붉으스름한 색을 띠고 뿌리는 옅은 붉은색의 고구마와 비슷하고
○ 한방에서 콜레스톨저하작용, 동맥경화억제작용, 사하작용, 항 Virus 작용, Steroid Hormone 유사작용 등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백하수오의 개화
|
백하수오 줄기에 달린 종실
|
백하수오의 뿌리 |
백하수오 생약제 |
재배 적지
○ 기후ㆍ토양 : 우리나라 전 지역에서 재배가 가능하나 토심이 깊고 유기물 함량이 많으면서 배수가 잘되는 사양토 ~ 식양토가 좋다.
증식 방법
○ 절편증식 : 덩이 뿌리를 5~7cm 길이로 잘라 다이센엠-45나 벤레이트-티를 상처부위에 묻혀서 균의 침입을 방지하고 10cm 간격으로 심으면 숨어있는 눈에서 싹이 나온다.
○ 종자직파 : 종자 소독실시 후 (베노람수화제 침지 또는 분의처리) 나비 50cm의 이랑을 만들고 10cm 간격으로 3~5알씩 파종한다.
○ 육묘이식 : 밑거름(퇴비중심)을 주고 120cm 폭의 묘판을 만들고 10cm 간격으로 줄뿌림을 한 다음 잘썩은 부엽과 흙을 1:1로 섞어서 체로 쳐 복토한다. (충분한 관수로 발아촉진)
- 10a당 소요되는 묘판면적은 33㎡(10평)이며 1년육묘후에 캐내어 절편증식 방법과 같이 정식하면 된다.
<재식방법별 수량성>
파종 및 정식
○ 파종 및 정식적기 : 4월 상순
- 직파 : 소독된 종자 4~5알씩 파종한다.
- 정식 : 종근 절편을 50cm 이랑너비에 포기사이 10cm로 1절편씩 심는다.
<백하수오 파종기와 생육>
시 비
○ 퇴비를 10a당 1,000kg 이상, 질소 70%와 인산, 칼리는 전량기비로 전층시비하고 질소 30%는 6월하순과 7월하순에 추비로 준다.
본밭 관리
○ 모가 어릴때 2회정도 제초하면 그후에는 백하수오가 자라서 잡초발생이 억제된다.
2회 제초와 동시에 4~5㎝ 정도 복토하여 배수가 잘되도록 해줌으로써 고자리파리의 피해도 예방할 수 있다.
○ 초장이 20㎝ 정도 자라면 덩굴 올리는 시설을 해주고 덩굴을 올려주어야 한다.
병해충 방제
○ 고자리파리, 굼벵이, 거세미의 피해가 있으나 크게 문제되지는 않으므로 이들 피해는 유기인제 입제농약을 웃거름과 함께 사용하면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수확 및 조제
○ 정식후 2~3년째 되는 10~11월이나 다음 해 3~4월에 수확하며 수확한 덩이뿌리는 깨끗이 물로 닦고 대칼로 겉껍질을 벗긴 후 건조사에서 건조시킨다.
백 지 (白芷)
<재배 작형>
<주요성분 및 이용>
○ 백지 뿌리에는 Byakangelicin, Byak-angelicol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진통, 중추신경흥투, 항균작용이 있어 한방에서는 진통약으로 감기, 두통, 치통, 안면신경통등에 쓰이고
- 담배제조시 항료로도 사용한다.
<종류 및 성상>
○ 육성보급된 품종은 없고 산야에 자생하고 있는것을 순화시킨 재래종이 재배되고 있으므로
- 종자는 2~3년생의 병해충 또는 다른 재해를 받지 않은 건실한 포기에서 성숙된 종자를 채종하여 사용하며
- 채종된 종자는 잘 건조시켜 종이봉지나 마대에 담아 습기가 없는 곳에 보관한다.
○ 백지는 2~3년생 식물인 구릿대의 뿌리로 되어 있으며 우리나라 각지의 산과 들에 자생한다.
- 줄기는 녹색바탕에 담자색을 띠며 직경은 2.0~3.5cm, 키는 1.5m 내외 마디는 11마디 정도이다.
- 뿌리가 생약으로 쓰이는데 담황갈색으로 비대하고 추대하면 목질화하여 죽으므로 생약은 1~2년생 뿌리가 좋은데 꽃대가 올라오지 않은것을 쓰며 뿌리를 씹으면 대단히 독한맛이 있다.
꽃대가 올라오는 백지
|
결실된 백지의 종자
|
백지의 생뿌리 |
백지의 생약제 |
재배 적지
○ 기후ㆍ토양 : 내한성이 강하고 생장력이 강해 우리나라 어느 곳에서나 재배가 가능하지만 서늘한 곳 재배가 유리하며 토양은 사양토~식양토로 토심이 깊고 유기물 함량이 많으며 물빠짐이 잘되는 곳으로 한번 심었던 밭에는 2~3년간 다른 작물을 심어야 한다.
재배 기술
○ 재배법은 육묘 이식재배와 직파재배가 있는데 직파재배는 수량은 약간 떨어지나 일손을 줄일 수 있고 비옥도가 높은 땅에서는 원뿌리가 긴 질좋은 약제를 생산할 수 있어 대부분 농가가 직파재배를 하고 있다.
○ 직파재배 파종기는 가을파종은 10월 하순~11월 상순, 봄파종은 3월 20일경이 적기이며
- 재식거리는 봄파종후 당년 가을수확의 경우 골사이 40cm, 포기사이 10cm로 3~4립식 점파하였다가 본엽이 2~3매 전개될 때 솎음질하여 건실한 것으로 1주를 남긴다.
<직파재배시 재식거리와 수량성>
○ 시비 : 직파재배는 당년수확으로 비교적 비옥한 땅에 거름을 많이주어 뿌리의 비대가 잘 되도록 한다.
- 뿌리 비대가 잘안되 당년수확이 되지 못하면 뿌리직경이 0.8cm 이상은 거의 추대하여 목질화되어 상품가치가 없어진다.
※ 비닐피복재배 : 흑색비닐을 피복하면 고온기 최고 기온이 낮은 토양습도 및 공극이 유지되어 뿌리 비대가 잘되고 수량이 늘어난다.
<피복재배 효과>
주요 관리
○ 솎음 : 본엽 2~3매시 생육 상태가 좋은 것으로 10cm 사이에 1포기가 남도록 하며
○ 중경제초는 : 북주기와 겸해서 2~3회 정도 실시해준다.
병해충 방제
○ 병해 : 균핵이 발생할 경우 발병초기 뽑아서 태우고 그 자리에 스미렉스 등을 뿌려 확산을 방지하고 배수를 철저히 한다.
○ 충해 : 심식충, 야도충, 진딧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심식충과 야도충은 후라단등을 파종전에 전포장에 살포하고 진딧물은 데시스, 피리모등을 살포하면 방제가 되는데 품목고시가 되어 있지 않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수확 및 조제
○ 수확은 11월중하순 땅이 얼기전에 하고 지상부를 낫으로 베어내고 뿌리를 캐내어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 어느정도 말라 부드러워지면 손질 뿌리를 곧게 펴고 잔뿌리를 한데모아 형태를 잡은 후 크기별로 선별 적당한 크기로 묶어서 다시 완전히 건조 시킨다.
황 기 (黃芪)
<재배 작형>
<주요성분 및 이용>
○ 황기 뿌리에는 Formonnetin, Betain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고 일본 문헌에 의하면 한국산에 r-Aminobutyricacid이 들어 있어 혈압 강하작용에 효과가 있다고하며
○ 약리 작용으로는 강장, 이뇨, 항신염, 항균, 간장보호작용등이 있어
○ 한방에서는 지한, 도한, 혈비, 부종, 내상로권, 비허설사, 탈흥 기허혈탈 등의 처방에 쓰인다.
<종류 및 성상>
○ 황기는 단일품종으로 산에 자생되었으나 지금은 포장순화 재배하고 있으며 아직까지 새로운 개량종이 육성된것은 없다.
○ 종자는 개화기간이 60일이상 계속되어 수확적기를 포착하기 힘들지만 대개 10월 상중순경 서리가 내리기 전 줄기를 20cm정도 높이에서 베어 작은 단으로 묶어 세워 말린다.
- 정선된 종자는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1~2일 음건시킨 다음 보관 다음해 파종용 종자로 사용한다.
○ 황기는 뿌리의 주피를 벗긴것을 기원으로 하고 있으며 다년생 풀로 불기는 녹자색을 띠며 키는 70~120cm에 달하고 가지가 많다.
뿌리는 직근성으로 곧게 뻗으며 외피는 담황갈색이나 잘라보면 둘레는 유백색이고 속살은 담황백색을 띤다.
기계파종한 황기의 예취
|
황기의 종자
|
생육후 100일된 황기뿌리 |
1년생(졸품) 5년근(최우량품) |
재배 적지
○ 기후ㆍ토양 : 추위에 강해 전국 어느곳에서나 재배가 가능하지만 비교적 서늘한 지방에서 뿌리의 생육이 잘되고 품질도 좋다.
- 즉 여름철 온도가 높지 않으면서 밤낮의 기온교차가 크며 토심이 깊고 물빠짐이 좋으며 부식질이 많은 식양질토양에서 뿌리가 곧고 길며 품질 좋은 황기를 수확할 수 있다.
재배 기술
○ 파종기 : 4월 상중순이 적기 (발아후 된서리 동사주의)
<파종기와 건근수량>
○ 파종방법 : 밑거름은 전층시비가 되도록 하고 90~120cm 두둑을 지어
- 당년 가을수확 목적일 때는 15cm간격으로 작은골을 만들어 줄뿌림 또는 간격으로 2~3일씩 점뿌림한다. (종자 3.6ℓ, 점파 2.4ℓ/10a)
- 2년근 이상의 것 수확목적 일때는 40cm 간격으로 작은 골을 만들어 줄뿌림 또는 10cm 간격으로 점뿌림한다. (종자 1.8ℓ/10a)
○ 거름주기 : 콩과 식물로 뿌리를 약으로 이용하므로 퇴비(1,000kg), 인산(8kg), 칼리(9kg) 비료를 많이 주어야 하며 산성토양에서는 석회 시용으로 중화시킨 후 심는것이 좋다.
주요 관리
○ 솎음 및 제초 : 파종 10일내외가 되면 싹이 올라오는데 아주배지 않으면 그대로 키우는 것이 일반적인데 솎음은 포기사이를 10cm로 하여 1포기씩만 남기고 솎아준다.
○ 김매기는 3~4회 실시하는 것이 좋고 제초제는 펜디입제사용이 가능하나 품목고시가 되지않아 주의를 요한다.
○ 보파 : 직근성으로 이식이 잘 안되고 곧은 뿌리를 수확해야 하므로 파종 20일이 지나도 싹이 올라오지 않으면 보파해야 한다.
○ 순지르기 : 생육이 지나치게 왕성하면 도복이 위험하므로 1년생은 7월중순 이전에 2년생 이상은 6월하순과 7월하순에 각각 1/4정도씩 잘라준다.
○ 배수작업 : 곧은 뿌리가 땅속깊이 쭉 뻗어 내려가므로 배수로를 40cm 이상 깊이로 설치 철저히 배수해야 한다.
병해충 방제
○ 흰가루병 : 여름철 장마기에 발생피해를 주는데 지오판수화제 등 방제가능
○ 진딧물 : 가물때 피해가 크나 메타유제 등으로 방제가능
- 이상약제는 품목고시가 안된 약제로 사용에 주의
○ 토양해충(야도충, 굼벵이) : 지오릭스분제, 타보입제 등 토양해충약으로 방제한다.
수확 및 조제
○ 수확 : 10월하순~11월중순사이 잎과 줄기가 마르기 시작하면 수확하나 보통 2~3년생을 수확하지만 당년수확도 가능하다.
- 뿌리가 길고 굵을수록 가격이 높으므로 시세를 보아가면서 수확년수를 늘린다.
○ 조제 : 수확후 물에 씻어서 껍질을 벗긴후 단시일에 건조시키는 것이 껍질이 희고 깨끗하여 상품성이 높으므로 80~90% 건조시 간추려 묶어서 완전히 건조시킨후 저장 또는 출하한다.
천 마 (天麻)
<재배 작형>
<주요성분 및 이용>
○ 천마의 덩이줄기에는 Vanilyl alcohol, Vanillin, Mucin 비타민A 유사물질이 들어있고
○ 한방에서는 오래전부터 덩이뿌리를 신경질환, 강장, 두통, 간질마비, 언어장해, 고혈압, 진통, 진정, 요담통, 경기, 중풍치료 특효약으로 쓰고 있으며, 땅위줄기는 채취하여 달여서 병질환에 이용하고 있다.
<성상 및 종류>
○ 천마는 뽕나무 버섯균과 공생식물로 해발 100m 이상의 지역에 부식질이 많은 계곡 숲속에서 자라며 다년생 식물로 잎이 없고 덩이뿌리 줄기는 길이 10~18cm, 지름 3~7cm 정도의 긴 타원형으로 잔뿌리가 없으며 가로로 뚜렷하지 않은 테가 있다.
○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천마는 두가지 종류가 있는데 “홍천마”와 “청천마”가 있다.
- 홍천마 : 지상부 꽃줄기가 적황색을 띠는것
- 청천마 : 지상부 꽃줄기가 담청색을 띠는것
※ 홍천마와 청천마를 생태적으로 구분하여
- 홍천마는 덩이줄기가 지면과 거의 수직으로 생장하고
- 청천마는 덩이줄기가 지면과 평행하게 생장한다고 구분하는 일부학자도 있지만 실제 재배시험에서는 환경조건이 달라서 인지 품종간의 뚜렷한 차이가 없다.
천마 자구심기
|
홍천마, 청천마
|
생 천 마 |
천마 생약재 |
재배 적지
○ 기후ㆍ토양 : 해발 100m 이상의 평야지나 고산지로 경사도가 30°미만인 곳으로 여름 온도가 낮고 습기가 많은 곳에서 생육이 양호하고 부식질이 풍부하여 표토의 유기물 함량이 5% 이상으로 습기가 잘 유지되면서 배수가 잘되는 사질양토로 약산성(pH 5.0~6.0) 토양에서 잘 자란다.
재배 기술
○ 원목준비 : 상수리나무, 물참나무, 떡갈나무 등을 쓰는데 직경 7~12cm인 것을 60~120cm의 길이로 하여 쓴다.
- 벌목은 수액의 유동이 정지된 12~3월에 실시 반음지에 보관하여 수분함량이 40~50%가 될 때 뽕나무 버섯균을 접종한다.
○ 균접종 : 원목에 7~10cm 간격으로 직경 1.2cm의 크기로 깊이 2~3cm의 구멍을 음지에서 뚫고 종균을 채운후 스티로폴 같은 것으로 밀봉한다.
○ 원목묻기 : 땅을 25~30cm로 파고 낙엽을 깐 다음 골목을 10cm 깊이로 하여 사이를 10cm정도 떼어 배열한 다음 낙엽을 10cm정도 피복해두면 5~7개월 경과후 균사속(실뿌리)이 나타난다.
○ 자마(새끼천마)이식
- 자마는 이식할 때 채취하는 것이 좋으며 크기는 1~4g 정도가 적당하며 5g 이상인 것은 구입비가 많이들어 비 경제적이다.
- 이식시기는 골목에서 균사속이 10cm 정도 1~3개가 출현되는 시기로 봄은 4~5월, 가을은 10~11월 땅이 얼기전에 한다.
- 묻혀진 골목사이에 한줄로 10cm 간격으로 심는것이 경제적이다.
- 심고난후 흙으로 덮은 다음 그 위에 낙엽을 3cm 정도 깔고 바람에 낙엽이 날아가지 않을 정도로 흙을 덮어주는 작업을 반복한다.
<자마 크기에 따른 수량성>
주요 관리
○ 낙엽피복 : 토양수분유지, 한더위 지온상승 방지(28℃이상), 한겨울 동해방지로 뽕나무 균사와 자마발육에 지장이 없도록 반드시 실시한다.
○ 수분유지 : 6~9월중순 생육 왕성기는 수분 요구가 많고 건조하기 쉬우므로 한발시 충분히 관수한다.
수확 조제
○ 수확 : 자마의 크기가 10g 미만의 것을 심을때 1년 6개월후부터 3년 걸쳐 수확한다.
- 수확시기는 11월 상순에서 3월하순에 하는것이 품질이 좋다.
- 수확량은 3.3㎡당 생중 15~30kg으로 관리기술에 따라 차가 크다.
※ 5~6월에 꽃대가 올라와 종자를 맺는데 그대로 두면 덩이줄기의 양분을 소모하므로 즉시 제거하고 가을에 수확한다.
<자마 이식후 수확년차 별 수량성>
구 분 |
수 확 년 차 | |||
2 |
3 |
4 |
5 | |
수량지수(%) |
100 |
130 |
103 |
61 |
○ 수확후 물에 깨끗이 씻어 이물질 제거후 끓는 물에 1등품(150g 이상)은 10~15분, 2등품(75~150g) 7~10분, 3등품(50g 이하) 5~8분, 등외품은 5분간 쪄서 햇볕 또는 건조기에 말려(건조비율 약 25%) 출하한다.
'사진 > 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토종약재 (0) | 2008.05.15 |
---|---|
[스크랩] 감초와 황기 (0) | 2008.03.21 |
[스크랩] 약초를 알면 건강이 보인다 ! (0) | 2008.03.21 |
[스크랩] 야콘사랑님! 감사합니다... (0) | 2008.03.13 |
토종약초 (0) | 2008.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