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화만발* 나누는 기쁨
덕화만발* 나누는 기쁨
*德華滿發*
나누는 기쁨
사람이 얼마나 잔인할 수 있을까요? 짐승은 자기 것을 나눌 줄 모른다고 합니다. 어떻게 부모가 되어서 자기 자식을 그렇게 학대할 수 있는지요? 얼마 전 온 나라를 분노케 했던 인천 11살 여자아이 학대 사건의 피의자들이 경찰 조사를 마치고 크리스마스이브인 12월 24일 검찰로 송치됐습니다.
아이의 아버지와 동거녀, 그리고 동거녀의 친구는 누구를 향해서인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앵무새처럼 죄송하다는 말만 반복하며 유치장에서 나와 검찰로 끌려갔습니다. 이들이 제대로 된 법의 심판을 받는 것만큼 중요한 게, 남겨진 아이를 체계적으로 치료하고 또 치유하는 일일 것입니다.
보도에 따르면 부천에 살던 부녀가 잠시 여관 등을 전전하는 떠돌이 생활을 하다가 결국, 인천으로 이사해 동거녀와 동거녀 친구와 정착한 이 무렵부터 아이에게 본격적인 학대가 벌어졌다고 합니다. 가족의 수입은 동거녀가 밤일로 벌어오는 돈이 전부였고, 아빠와 동거녀의 친구는 밥 먹는 시간을 빼곤 인터넷 게임에만 매달렸습니다.
새벽에 퇴근한 동거녀는 밖에서 받은 스트레스를 아이에게 풀었습니다. 처음에는 파리채로 때리다가 나중엔 쇠로 된 옷걸이 같은 둔기로도 때렸습니다. 밥을 굶기는 건 애교에 불과했고, 동거녀의 친구는 틈만 나면 아이의 손과 발을 노끈으로 꽁꽁 묶어 세탁실에 가뒀습니다. 아이에게 집이란 포근한 안식처가 아닌 무간지옥과도 같은 곳이었을 겁니다.
평균 키보다 25cm나 덜 자란 게 당연했습니다. 소아 의료 전문가들은 이렇게 장기간 학대를 당한 아동의 경우 겉으로 보기에 멀쩡해 보여도 신체 여러 장기에 이상이 생겼거나 골밀도가 감소하고 호르몬의 불균형도 심할 수 있다고 조언합니다.
그리고 탈출 후 지난 일주일 만에 4kg이 늘어난 것도 사실은 심장에 무리가 갈 수 있다며 좋지만은 않을 수도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지속적이고 전문적인 보살핌이 필요하다는 얘기일 것입니다. 넓은 종이 위에 크리스마스트리를 너무나도 조그맣게 그린 이 아이가 상처를 치유하기는 쉽지는 않을 것입니다. 어쨌든 하루빨리 몸과 마음의 건강을 되찾길 간절히 바랍니다.
그 몸과 영혼이 온통 멍든 그 소녀에게 세모(歲暮)를 당하여 선물과 성금이 답지 했다고 합니다. 지난 크리스마스를 전후하여 성금이 무려 5천만 원이 넘게 들어왔다고 합니다. 이제는 그렇게 먹고 싶었던 피자도 마음 놓고 먹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이를 맡아 기르겠다는 사람도 나왔다고 합니다. 나눔이란 이런 것입니다. 우리의 조그마한 나눔의 결과가 죽지못해 살아왔던 한 아이의 생명을 건지고 비로소 얼굴에 미소를 띠울 수 있게 되었습니다.
어느 세미나에서 있었던 일입니다. 강사가 참석한 모든 사람들에게 풍선을 분 뒤 거기에 각각 자기 이름을 쓰라고 했습니다. 그리고는 모든 풍선을 다른 한 방에 집어넣고 잠시 뒤, 자기 이름이 쓰인 풍선을 5분 안에 찾으라고 주문을 했습니다. 사람들은 정신없이 풍선을 찾느라 서로 부딪히고 밀리며 방안은 아수라장이 되었습니다.
5분이 흘렀지만 단 한명도 자신의 풍선을 찾지 못했습니다. 강사는 이번에는 아무 풍선이나 집어 거기 적힌 이름을 보고 그 사람에게 주도록 했습니다. 그러자 몇 분도 지나지 않아 모든 사람이 자기 풍선을 찾게 됐습니다.
강사가 말합니다. “우리가 실시한 풍선 찾기는 우리네 삶과 똑같습니다. 모두 필사적으로 행복을 찾아다니지만 그것이 어디에 있는지는 잘 모르지요. 우리의 행복은 다른 사람의 행복과 함께 있습니다. 그들에게 풍선을 찾아주듯 여러분도 행복을 나누어 주십시오. 어느 순간 여러분은 함께 행복을 누릴 수 있을 것입니다.”
어떻습니까? 이 나눔의 삶이 바로 자기가 행복해지는 길이 아닌가요? 우리는 나눔의 삶을 살아야 합니다. 꼭 물질적인 것이 아니라도 좋습니다. 따뜻한 말 한마디도 좋습니다. 재능을 나누고, 일을 나누고, 시간과 마음을 나누는 것도 훌륭한 나눔입니다. 나누는 기쁨이 없다면 사는 기쁨도 없습니다.
인간이 되어 나누는 기쁨이 없다면 그건 사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아무리 가진 것이 없어도 마음이 있는 한 나눌 것은 있습니다. 땀 흘려 번 정재(淨財)가 없다면 이 튼튼한 몸으로 나누면 됩니다. 만약 저처럼 몸도 성치 않으면 마음으로라도 상대가 잘 되기를 하늘에 축수(祝手)를 드리는 것도 아주 좋은 나눔입니다.
어쩌면 마음을 나눌 때 물질적인 것은 자연히 그림자처럼 따라올 것입니다. 우리는 나눔으로써 남의 이름이 적힌 풍선을 나누어 주는 것처럼 더 풍요로워지고 행복해지는 법입니다. 그걸 불가(佛家)에서는 보시(布施)라고 합니다. 보시란 남에게 무엇인가를 베푸는 것을 말합니다. 이 보시에는 흔히 세 가지 형태의 보시가 있습니다.
첫째, 법시(法施)입니다. 법시는 정신적인 베풂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진리의 말씀을 다른 이에게 전해서 많은 사람들이 미혹(迷惑)으로부터 벗어나도록 도와주는 것이지요.
둘째, 재시(財施)입니다. 재시는 스스로 탐욕 심을 없애 필요한 자에게 재물을 베풀어주는 것입니다.
셋째, 무외시(無畏施)입니다. 무외시는 중생을 불안과 공포로부터 구해주는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중생은 영리하게 제 일만 하는 것 같으나 결국 자신이 해를 봅니다. 그러나 불보살은 어리석게 남의 일만 해주는 것 같으나 결국 자기의 이익을 불러옵니다. 바로 나누는 삶을 영위하는 사람이 불보살입니다. 정신 육신 물질 삼 방면으로 혜시(惠施)하는 사람이 장차 복을 많이 받는 사람입니다. 그 베푸는 공덕도 베풀었다는 상(相)이 없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덕도 음조(陰助)하는 덕이 더 크고, 죄(罪)도 음해(陰害)하는 죄가 더 큰 것입니다. 무어니 무어니 해도 나누는 기쁨이 최고입니다. 우리 세모를 당하여 법시, 재시, 무외시를 통하여 더욱 복 받는 나눔의 삶을 살아가시면 좋겠네요!
단기 4348년, 불기 2559년, 서기 2015년, 원기 100년 12월 30일 덕 산 김 덕 권(길호) 합장 【다음카페 덕화만발(德華萬發)클릭→http://cafe.daum.net/duksan725】 《*덕화만발* 토 일요일 공휴일은 이메일 발송이 어려워 쉽니다.》 |